鷄皮鶴髮(계피학발)
사람이 늙어서 피부는 닭의 살갗과 같이 되고 머리는 세어 학의 날개처럼 희어졌다는 말
季札掛劍 (계찰괘검)
季札掛劍(계찰괘검)
季 계절 계, 끝 계 | 札 편지 찰, 뽑을 찰, 패 찰 | 掛 걸 괘 | 劍 칼 검 |
계찰이 검을 걸어 놓다는 뜻으로, 신의를 중시함을 비유하는 말.
《사기(史記)》 오태백세가편(吳太伯世家篇)에 보인다.
오(吳)나라 왕 수몽(壽夢)에게는 네 아들이 있었는데, 그 중 막내 아들이 계찰(季札)이다. 계찰은 그 형제들 가운데 가장 현명하고 재능이 있어서 수몽은 그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였고 백성들 역시 같은 마음이었다. 그러나 계찰은 왕위는 장자가 이어야 한다며 가족을 떠나 산촌에 살면서 밭을 갈며 살아 거절의 뜻을 분명히 했다.
계찰의 형들 역시 계찰의 높은 인격과 굳은 절개를 칭찬하며 차례로 집권하여 왕위가 그에게까지 이르도록 하려고 하였다. 계찰은 자신이 왕위에 오를 순서가 되었지만, 이때도 받지 않아서 왕은 계찰을 연릉(延陵)으로 봉후(封侯)했다. 그 후로부터 계찰을 연릉의 계자(季子)라 불렸다.
계찰이 처음 사신으로 길을 떠났을 때, 오(吳)나라의 북쪽으로 가는 도중에 서(徐)나라에 들러 서왕(徐王)을 알현하게 되었다. 서왕은 평소 계찰의 보검을 갖고 싶었으나 감히 말하지 않았다. 계찰 역시 속으로는 서왕이 자신의 보검을 원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나, 사신으로 중원(中原) 각 나라를 돌아다녀야 하였기 때문에 바치지 않았다.
각 나라 방문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서(徐)나라에 도착해 보니 서왕은 이미 죽고 없었다. 이에 계찰은 보검을 풀어 서왕 집의 나무에 걸어놓고 떠났다[於是乃解其寶劍 繫之徐君家樹而去]. 그의 종자(從子)가 물었다.
"서왕은 이미 죽었는데 또 누구에게 주는 것입니까?"라고 하자, 계찰이 말하기를 "그런 것이 아니다. 나는 처음에 마음속으로 그에게 주기로 결정하였는데, 그가 죽었다고 해서 내가 어찌 나의 뜻을 바꿀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계찰계검'은 이 글을 요약한 말이며, 중국의 유서(類書)인 《몽구(蒙求)》의 표제어에는 '계찰괘검(季札掛劍)'으로 적고 있다.
태사공(太史公) 사마천(司馬遷)은 계찰의 인물됨을 평가하여, "연릉계자(延陵季子)의 어질고 덕성스런 마음과 도의(道義)의 끝없는 경치를 앙모한다. 조그마한 흔적을 보면 곧 사물의 깨끗함과 혼탁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어찌 그를 견문이 넓고 학식이 풍부한 군자가 아니라고 하겠는가!"라고 했다.
출전
사기(史記)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季布一諾(계포일락) | 季布一諾(계포일낙) | 季札繫劍(계찰계검) |
季 계절 계, 끝 계 | 札 편지 찰, 뽑을 찰, 패 찰 | 掛 걸 괘 | 劍 칼 검 |
계찰이 검을 걸어 놓다는 뜻으로, 신의를 중시함을 비유하는 말.
《사기(史記)》 오태백세가편(吳太伯世家篇)에 보인다.
오(吳)나라 왕 수몽(壽夢)에게는 네 아들이 있었는데, 그 중 막내 아들이 계찰(季札)이다. 계찰은 그 형제들 가운데 가장 현명하고 재능이 있어서 수몽은 그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였고 백성들 역시 같은 마음이었다. 그러나 계찰은 왕위는 장자가 이어야 한다며 가족을 떠나 산촌에 살면서 밭을 갈며 살아 거절의 뜻을 분명히 했다.
계찰의 형들 역시 계찰의 높은 인격과 굳은 절개를 칭찬하며 차례로 집권하여 왕위가 그에게까지 이르도록 하려고 하였다. 계찰은 자신이 왕위에 오를 순서가 되었지만, 이때도 받지 않아서 왕은 계찰을 연릉(延陵)으로 봉후(封侯)했다. 그 후로부터 계찰을 연릉의 계자(季子)라 불렸다.
계찰이 처음 사신으로 길을 떠났을 때, 오(吳)나라의 북쪽으로 가는 도중에 서(徐)나라에 들러 서왕(徐王)을 알현하게 되었다. 서왕은 평소 계찰의 보검을 갖고 싶었으나 감히 말하지 않았다. 계찰 역시 속으로는 서왕이 자신의 보검을 원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나, 사신으로 중원(中原) 각 나라를 돌아다녀야 하였기 때문에 바치지 않았다.
각 나라 방문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서(徐)나라에 도착해 보니 서왕은 이미 죽고 없었다. 이에 계찰은 보검을 풀어 서왕 집의 나무에 걸어놓고 떠났다[於是乃解其寶劍 繫之徐君家樹而去]. 그의 종자(從子)가 물었다.
"서왕은 이미 죽었는데 또 누구에게 주는 것입니까?"라고 하자, 계찰이 말하기를 "그런 것이 아니다. 나는 처음에 마음속으로 그에게 주기로 결정하였는데, 그가 죽었다고 해서 내가 어찌 나의 뜻을 바꿀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계찰계검'은 이 글을 요약한 말이며, 중국의 유서(類書)인 《몽구(蒙求)》의 표제어에는 '계찰괘검(季札掛劍)'으로 적고 있다.
태사공(太史公) 사마천(司馬遷)은 계찰의 인물됨을 평가하여, "연릉계자(延陵季子)의 어질고 덕성스런 마음과 도의(道義)의 끝없는 경치를 앙모한다. 조그마한 흔적을 보면 곧 사물의 깨끗함과 혼탁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어찌 그를 견문이 넓고 학식이 풍부한 군자가 아니라고 하겠는가!"라고 했다.
출전
사기(史記)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季布一諾(계포일락) | 季布一諾(계포일낙) | 季札繫劍(계찰계검) |
桂玉之歎 (계옥지탄)
桂玉之歎(계옥지탄)
桂玉之叹(guìyùzhītàn)
桂 계수나무 계 | 玉 구슬 옥 | 之 갈 지 | 嘆 탄식할 탄,또 우 |
식량(食糧) 구(求)하기가 계수 나무 구(求)하듯이 어렵고, 땔감을 구(求)하기가 옥을 구(求)하기 만큼이나 어려움
가난 |
桂玉之叹(guìyùzhītàn)
桂 계수나무 계 | 玉 구슬 옥 | 之 갈 지 | 嘆 탄식할 탄,또 우 |
식량(食糧) 구(求)하기가 계수 나무 구(求)하듯이 어렵고, 땔감을 구(求)하기가 옥을 구(求)하기 만큼이나 어려움
가난 |
鷄鳴狗盜 (계명구도)
鷄鳴狗盜(계명구도)
鸡鸣狗盗(jīmínggǒudào)
鷄 닭 계 | 鳴 울 명 | 狗 개 구 | 盜 도둑 도 |
닭의 울음 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의 흉내를 잘 내는 좀도둑이라는 뜻으로, ①천한 재주를 가진 사람도 때로는 요긴(要緊)하게 쓸모가 있음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②'야비(野鄙)하게 남을 속이는 꾀'를 비유(比喩)한 말 ③잔재주를 자랑함
중국 전국시대 제(齊)나라의 귀족 맹상군(孟嘗君)은 갖가지 재주 있는 식객이 많았다. 어느 날 진(秦)나라 소왕(昭王)이 맹상군(孟嘗君)을 초청했다. 맹상군은 소양왕에게 호백구(狐白裘)를 선물했다. 소왕은 맹상군(孟嘗君)을 임명하려 했지만 많은 신하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진나라 국상이 맹상군의 슬하에 인재가 많은 것을 시기하여 그를 죽이려 하였다. 한편 맹상군(孟嘗君)은 자신을 죽이려 한다는 음모를 알아차리고 소왕의 애첩 총희(寵嬉)를 달래 나가게 해달라고 부탁하니 호백구(狐白裘)를 요구하였다.
개 흉내로 도둑질에 능한 사람이 "신이 능히 호백구(狐白裘)를 얻어 오겠습니다." 하고 밤에 개 흉내를 내어 진(秦)나라 궁의 창고로 들어가서, 바쳤던 호백구(狐白裘)를 취해서 그녀에게 주니 그녀의 간청으로 석방되었다. 그 곳을 빠져 나와 밤중에 함곡관(函谷關)에 이르니 닭이 울어야 객을 내보낸다는 관법으로 인해 관문이 굳게 닫혀 있었다. 그 때 객 중에 닭 울음소리를 잘 내는 자가 '꼬끼오' 하니 모든 닭이 따라 울어 관문이 열렸고 무사히 통과하여 제나라로 올 수 있었다. 나중에 소왕은 맹상군(孟嘗君)의 귀국을 허락한 것을 뉘우치고 병사들로 하여금 뒤쫓게 했으나, 이미 관문을 통과한 뒤였다.
이것은 《사기 맹상군전》에 나오는 이야기로 계명구도지도(鷄鳴狗盜之徒)라고도 한다.
[출전]
史記:孟嘗君列傳
관련 한자어
유의어
函谷鷄鳴(함곡계명) | 鷄鳴之客(계명지객) |
참조어
鷄鳴狗盜之雄(계명구도지웅) 맹상군(孟嘗君)을 달리 이르는 말 |
사기, 史記, 史記:孟嘗君列傳 |
鸡鸣狗盗(jīmínggǒudào)
鷄 닭 계 | 鳴 울 명 | 狗 개 구 | 盜 도둑 도 |
닭의 울음 소리를 잘 내는 사람과 개의 흉내를 잘 내는 좀도둑이라는 뜻으로, ①천한 재주를 가진 사람도 때로는 요긴(要緊)하게 쓸모가 있음을 비유(比喩)하여 이르는 말 ②'야비(野鄙)하게 남을 속이는 꾀'를 비유(比喩)한 말 ③잔재주를 자랑함
중국 전국시대 제(齊)나라의 귀족 맹상군(孟嘗君)은 갖가지 재주 있는 식객이 많았다. 어느 날 진(秦)나라 소왕(昭王)이 맹상군(孟嘗君)을 초청했다. 맹상군은 소양왕에게 호백구(狐白裘)를 선물했다. 소왕은 맹상군(孟嘗君)을 임명하려 했지만 많은 신하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진나라 국상이 맹상군의 슬하에 인재가 많은 것을 시기하여 그를 죽이려 하였다. 한편 맹상군(孟嘗君)은 자신을 죽이려 한다는 음모를 알아차리고 소왕의 애첩 총희(寵嬉)를 달래 나가게 해달라고 부탁하니 호백구(狐白裘)를 요구하였다.
개 흉내로 도둑질에 능한 사람이 "신이 능히 호백구(狐白裘)를 얻어 오겠습니다." 하고 밤에 개 흉내를 내어 진(秦)나라 궁의 창고로 들어가서, 바쳤던 호백구(狐白裘)를 취해서 그녀에게 주니 그녀의 간청으로 석방되었다. 그 곳을 빠져 나와 밤중에 함곡관(函谷關)에 이르니 닭이 울어야 객을 내보낸다는 관법으로 인해 관문이 굳게 닫혀 있었다. 그 때 객 중에 닭 울음소리를 잘 내는 자가 '꼬끼오' 하니 모든 닭이 따라 울어 관문이 열렸고 무사히 통과하여 제나라로 올 수 있었다. 나중에 소왕은 맹상군(孟嘗君)의 귀국을 허락한 것을 뉘우치고 병사들로 하여금 뒤쫓게 했으나, 이미 관문을 통과한 뒤였다.
이것은 《사기 맹상군전》에 나오는 이야기로 계명구도지도(鷄鳴狗盜之徒)라고도 한다.
[출전]
史記:孟嘗君列傳
관련 한자어
유의어
函谷鷄鳴(함곡계명) | 鷄鳴之客(계명지객) |
참조어
鷄鳴狗盜之雄(계명구도지웅) 맹상군(孟嘗君)을 달리 이르는 말 |
사기, 史記, 史記:孟嘗君列傳 |
鷄肋 (계륵)
鷄肋(계륵)
쓸모가 별로 없지만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
후한 말, 삼국지로 유명한 촉(蜀)나라의 유비는 군사 제갈공명과 함께 위(魏)나라 조조의 대군을 한중땅에서 맞아 싸웠다. 조조의 군사는 너무 먼 거리를 원정했으므로 보급이 연결되지 않아서 한다하는 조조도 더 이상 싸운다는 것은 불리하다고 판단했다.
그렇다고 해서 패전(敗戰)을 한 것도 아닌지라 어떻게 명령을 내려야 좋을지 몰라서, 머리를 짜내고 있던 조조는 전군에게, '계륵(鷄肋)일 뿐이다'하며 아리송한 명령을 내렸다. 역전의 용장들도 조조의 마음을 읽을 수가 없었다. 이때 양수라는 장수가 재빨리 후퇴할 준비를 서둘렀다. 장수들이 그에게 그 이유를 묻자 양수는 이렇게 대답했다.
"닭갈비는 먹을 만한 고기가 붙어 있는 것도 아니지만,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이오. 한중 땅 역시 그런 곳이라고 주상께서는 생각하고 계신 것이라오."
요즈음에는 이 계륵은 '쓸모가 별로 없지만 버리자니 아까운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다.
쓸모가 별로 없지만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
후한 말, 삼국지로 유명한 촉(蜀)나라의 유비는 군사 제갈공명과 함께 위(魏)나라 조조의 대군을 한중땅에서 맞아 싸웠다. 조조의 군사는 너무 먼 거리를 원정했으므로 보급이 연결되지 않아서 한다하는 조조도 더 이상 싸운다는 것은 불리하다고 판단했다.
그렇다고 해서 패전(敗戰)을 한 것도 아닌지라 어떻게 명령을 내려야 좋을지 몰라서, 머리를 짜내고 있던 조조는 전군에게, '계륵(鷄肋)일 뿐이다'하며 아리송한 명령을 내렸다. 역전의 용장들도 조조의 마음을 읽을 수가 없었다. 이때 양수라는 장수가 재빨리 후퇴할 준비를 서둘렀다. 장수들이 그에게 그 이유를 묻자 양수는 이렇게 대답했다.
"닭갈비는 먹을 만한 고기가 붙어 있는 것도 아니지만,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이오. 한중 땅 역시 그런 곳이라고 주상께서는 생각하고 계신 것이라오."
요즈음에는 이 계륵은 '쓸모가 별로 없지만 버리자니 아까운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다.
鷄卵有骨 (계란유골)
鷄卵有骨 (계란유골)
鷄 닭 계 | 卵 알 란 | 有 있을 유 | 骨 뼈 골 |
계란에도 뼈가 있다는 말로, ①일이 공교롭게 틀어짐 ②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뜻함.
관련 속담
동의어·유의어
¶ 계란에도 뼈가 있다.
¶ 재수 없는 놈은 뒤로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
鷄 닭 계 | 卵 알 란 | 有 있을 유 | 骨 뼈 골 |
계란에도 뼈가 있다는 말로, ①일이 공교롭게 틀어짐 ②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뜻함.
관련 속담
동의어·유의어
¶ 계란에도 뼈가 있다.
¶ 재수 없는 놈은 뒤로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
鷄口牛後 (계구우후)
鷄口牛後(계구우후)
鷄 닭 계 | 口 입 구 | 牛 소 우 | 後 뒤 후 |
큰 조직의 말석을 차지하기보다 작은 조직의 우두머리가 되는 편이 낫다는 뜻.
Better be the head of an ass than the tail of a horse.
사기(史記) 소진열전(蘇秦列傳)에는 전국(戰國)시대의 모사(謀士) 소진의 일화가 실려 있다. 소진은 합종책(合從策)으로 입신(立身)하려는 야심을 가지고 진(秦)나라 혜왕, 조(趙)나라의 재상인 봉양군 등을 만나 보았으나 환영 받지 못하였다.
그는 다시 연(燕)나라로 가서 문후(文侯)를 만나, 연나라가 조(趙)나라와 맹약을 맺어 진나라에 대항해야한다는 합종의 계획을 말하였다. 문후의 후한 사례에 고무된 소진은 얼마 후 한(韓)나라에 가게 되었는데, 그는 한나라의 선혜왕(宣惠王)을 만나 진나라를 섬기지 말 것을 권고하며 다음과 같이 유세하였다.
이번 기회에 남북으로 연합하는 합종책으로써 진나라의 동진(東進)을 막아보십시오. 옛말에 차라리 닭의 입이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말라[寧爲鷄口無爲牛後]고 하였습니다.
마침내 선혜왕은 소진의 권유를 받아 들였다. 나머지 다섯 나라들도 그에게 설복되었으며, 결국 소진은 6국의 재상을 겸임하게 되었다.
[출전]
전국책(戰國策) 한책(韓策) | 사기 소진전(蘇秦傳) |
관련 속담
동의어·유의어
¶ 닭의 볏이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 용의 꼬리보다 뱀의 머리가 낫다.
鷄 닭 계 | 口 입 구 | 牛 소 우 | 後 뒤 후 |
큰 조직의 말석을 차지하기보다 작은 조직의 우두머리가 되는 편이 낫다는 뜻.
Better be the head of an ass than the tail of a horse.
사기(史記) 소진열전(蘇秦列傳)에는 전국(戰國)시대의 모사(謀士) 소진의 일화가 실려 있다. 소진은 합종책(合從策)으로 입신(立身)하려는 야심을 가지고 진(秦)나라 혜왕, 조(趙)나라의 재상인 봉양군 등을 만나 보았으나 환영 받지 못하였다.
그는 다시 연(燕)나라로 가서 문후(文侯)를 만나, 연나라가 조(趙)나라와 맹약을 맺어 진나라에 대항해야한다는 합종의 계획을 말하였다. 문후의 후한 사례에 고무된 소진은 얼마 후 한(韓)나라에 가게 되었는데, 그는 한나라의 선혜왕(宣惠王)을 만나 진나라를 섬기지 말 것을 권고하며 다음과 같이 유세하였다.
이번 기회에 남북으로 연합하는 합종책으로써 진나라의 동진(東進)을 막아보십시오. 옛말에 차라리 닭의 입이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말라[寧爲鷄口無爲牛後]고 하였습니다.
마침내 선혜왕은 소진의 권유를 받아 들였다. 나머지 다섯 나라들도 그에게 설복되었으며, 결국 소진은 6국의 재상을 겸임하게 되었다.
[출전]
전국책(戰國策) 한책(韓策) | 사기 소진전(蘇秦傳) |
관련 속담
동의어·유의어
¶ 닭의 볏이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 용의 꼬리보다 뱀의 머리가 낫다.
鷄犬昇天 (계견승천)
鷄犬昇天(계견승천)
鷄 닭 계 (ji1; 鳥-10획) | 犬 개 견 (quan3; 犬-총4획) | 昇 오를 승 (sheng1; 日-4획) | 天 하늘 천 (tian1; 大-총4획) |
다른 사람의 권세(權勢)에 빌붙어 승진(昇進ㆍ陞進)하는 것을 이르는 말
A hen and dog rise to heaven. If a man becomes immortal, even his hen and dog become immortal, too
신선전(神仙傳) 회남왕편(淮南王篇)에 실려 있다.
중국 한(漢) 나라 때 회남왕 유안(劉安:BC 179?∼BC 122)은 팔공(八公)이라고 불리는 신선에게 먹으면 장생불사(長生不死)의 신선이 된다고 하는 선단(仙丹)의 제조하는 기술을 전수 받았다. 고생 끝에 이 기술을 연마하여, 그는 곧 대낮에 하늘로 올라갔다. 그리고 집에서 기르던 개와 닭들도 약 그릇에 묻은 선약을 핥아먹었는데, 모두 함께 하늘로 올라가 신선이 되었다[鷄犬舐藥器者, 亦同飛去]고 전해진다. 중천에서 '꼬끼오' 하는 소리와 '멍멍멍' 개 짓는 소리가 한참동안이나 어지럽게 들려 왔다고 한다.
출전
신선전(神仙傳) 회남왕편(淮南王篇)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淮南鷄犬(회남계견) | 拔宅飛升(발택비승) | 一人得道 鷄犬昇天(일인득도 계견승천) |
반의어·상대어
|
관련 속담
When a man gets to the top, all his friends and relatives get there with him.
한 사람이 최고(最高)에 오르면, 그의 모든 친구들과 친척들은 그와 함께 그곳에 있게 된다.
When a man is at court, all his followers are in favor.
한 사람이 궁정(宮庭)에 가게 되면, 그의 수행원들도 모두 호의(好意)를 받게 된다.
중요도·활용도
鷄 닭 계 (ji1; 鳥-10획) | 犬 개 견 (quan3; 犬-총4획) | 昇 오를 승 (sheng1; 日-4획) | 天 하늘 천 (tian1; 大-총4획) |
다른 사람의 권세(權勢)에 빌붙어 승진(昇進ㆍ陞進)하는 것을 이르는 말
A hen and dog rise to heaven. If a man becomes immortal, even his hen and dog become immortal, too
신선전(神仙傳) 회남왕편(淮南王篇)에 실려 있다.
중국 한(漢) 나라 때 회남왕 유안(劉安:BC 179?∼BC 122)은 팔공(八公)이라고 불리는 신선에게 먹으면 장생불사(長生不死)의 신선이 된다고 하는 선단(仙丹)의 제조하는 기술을 전수 받았다. 고생 끝에 이 기술을 연마하여, 그는 곧 대낮에 하늘로 올라갔다. 그리고 집에서 기르던 개와 닭들도 약 그릇에 묻은 선약을 핥아먹었는데, 모두 함께 하늘로 올라가 신선이 되었다[鷄犬舐藥器者, 亦同飛去]고 전해진다. 중천에서 '꼬끼오' 하는 소리와 '멍멍멍' 개 짓는 소리가 한참동안이나 어지럽게 들려 왔다고 한다.
출전
신선전(神仙傳) 회남왕편(淮南王篇)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淮南鷄犬(회남계견) | 拔宅飛升(발택비승) | 一人得道 鷄犬昇天(일인득도 계견승천) |
반의어·상대어
|
관련 속담
When a man gets to the top, all his friends and relatives get there with him.
한 사람이 최고(最高)에 오르면, 그의 모든 친구들과 친척들은 그와 함께 그곳에 있게 된다.
When a man is at court, all his followers are in favor.
한 사람이 궁정(宮庭)에 가게 되면, 그의 수행원들도 모두 호의(好意)를 받게 된다.
중요도·활용도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