探花蜂蝶 (탐화봉접)

探花蜂蝶(탐화봉접)

探 찾을 탐 | 花 꽃 화 | 蜂 벌 봉 | 蝶 나비 접

꽃을 찾는 벌과 나비라는 뜻으로 ①사랑하는 여자를 그리워하여 찾아가는 남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②여색(女色)을 좋아하는 사람을 비유(比喩ㆍ譬喩)로 이르는 말.


관련 한자어

유의어

탐화광접(探花狂蝶) 꽃을 찾아다니는 미친 나비라는 뜻으로, ‘탐화봉접’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脫兎之勢 (탈토지세)

脫兎之勢(탈토지세)

토끼가 우리에서 뛰어나오듯 신속한 기세를 일컫는 말.

打草驚蛇 (타초경사, dǎcǎojīngshé)

打草驚蛇(타초경사)

打草惊蛇(dǎcǎojīngshé)

打 칠 타 | 草 풀 초 | 驚 놀랄 경 | 蛇 뱀 사 |


풀을 두드려 뱀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을(乙)을 징계하여 갑(甲)을 깨우침을 비유하거나 또는 변죽을 울려 적의 정체를 드러나게 하거나 공연히 문제를 일으켜 화를 자초함을 비유한 말.


다음은 중국 당(唐)나라의 단성식(段成式)의 수필집인 《유양잡조(酉陽雜俎)》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당나라 때, 지방의 한 탐관오리 현령(縣令)이 온갖 명목으로 세금을 거둬들여 사복을 채우자, 견디다 못한 백성들은 일부러 현령에게 그 부하들의 부정부패 사실을 일일이 열거해 고발장을 올렸다. 그러자, 고발장을 읽어보던 현령은 깜짝 놀라며 '여수타초 오이경사(汝雖打草 吾已驚蛇)'라는 글귀를 적어 놀란 가슴을 진정시켰다고 한다. 즉, '너희들이 비록 풀밭을 건드렸지만 이미 나는 놀란 뱀과 같다.'라는 뜻으로, 이것은 백성들이 자기 부하들의 비리를 고발한 것은 곧 우회적으로 자신의 비리를 고발하는 것이라고 생각해 지레 겁을 먹은 것이다. 이렇게 해서 을을 징계해서 갑을 각성하게 하려 한 백성들의 의도는 충분히 달성되었다.

[출전]
酉陽雜俎(유양잡조) |


三十六計 攻戰計 第十三計에 나오는 '타초경사'는 뱀을 찾아내어 잡는 것이 그 목적으로, 뱀을 잡기 위해서는 자기 스스로 놀라는 척하며 풀밭을 두드리라고 한다. 즉, 변죽을 울려 적의 정체를 드러나게 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공전계란 말 그대로 공세를 취할 때 쓰는 계략이다. 공세를 취한다는 것은 적보다 병력이 우세한 상황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그래서 적보다 많은 병력으로 상대방을 공격해 들어갈 때 쓰이는 계략들이 이 '攻戰計'에 들어있다.

원문의 풀이글은 다음과 같다.

"적의 동향이 불확실하면 적을 자극해 실질을 살핀다. 그 후에 행동으로 들어간다. 이의 반복은 숨어있는 적을 발견하기 위한 계략이다.[疑以叩實,察而後動;復者,陰之媒也.]"

간단히 말해서 적을 '떠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春秋時代(춘추시대) 초기, 강국이었던 鄭(정)나라의 이야기이다.

정나라 鄭武公(정무공)의 부인은 강씨였다. 강씨에겐 소생이 둘 있었는데, 장자의 이름은 寤生(오생)이고 차자의 이름은 段(단)이었다. 장자의 이름이 '寤(잠깰 오)'에 '生(날 생)'인 것은 이유가 있었다. 강씨가 장자를 낳을 때 그녀는 잠을 자고 있었다. 꿈에 해산하는 꿈을 꾸었는데, 잠에서 깨어나니 아기가 나와있던 것이었다. 그래서 이름을 오생이라 한 것이다. 강씨는 이 일을 몹시 불쾌하게 생각했다. 그래서 그 후에 낳은 아들 段만을 편애했다. 그리고 정무공에게 단이 군위를 이어야 한다고 말하곤 했다. 그러나 정무공은 長幼(장유)에는 질서가 있는 법이므로 그럴 수는 없다고 했다. 그리하여 마침내 오생이 세자가 되었다. 정무공은 차자인 단에게는 共城(공성)이라는 땅을 주고 단을 共叔(공숙)이라고 불렀다. 강씨는 이러한 처사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

정무공이 세상을 떠나고 오생이 즉위했다. 이가 바로 鄭莊公(정장공)이다. 이에 강씨는 정장공에게 말한다.

"왜 공숙을 制邑(제읍)에 봉하지 않는냐?"

"제읍은 험한 곳으로 이름 높은 곳입니다. 선왕께서도 그곳만은 나누어 봉하지 말라는 유언까지 하셨습니다. 이 외의 일이라면 분부대로 거행하리이다."

"그렇다면 京城(경성)을 주면 어떠하냐?"

정장공은 어이가 없어 말도 하지 못했다. 강씨가 투덜거린다.

"그것도 안 된다면 차라리 공숙을 다른 나라로 추방하거라. 타국에서 벼슬이나 살면서 입에 풀칠이라도 하라고 해야겠다."
"그럴 것 없습니다. 그저 분부대로 하오리다."

다음날 정장공은 신하들에게 말했다.

"공숙 단에게 경성을 봉하고자 하노라."
"그게 무슨 말씀이십니까. 하늘엔 해가 둘일 수 없고, 백성에겐 두 임금이 있을 수 없습니다. 경성은 땅도 넓고 백성도 많아서 조금도 형양(정나라 수도)과 다를 바 없습니다. 공숙에게 경성을 봉한다면 이는 한 나라에 두 임금을 두는 것입니다. 그저 후환이 있을까 두렵사옵니다."

그러나 정장공은 마침내 공숙에게 경성 땅을 봉했다. 공숙은 형인 정장공에게 사은숙배하고, 내궁으로 들어가 어머니 강씨에게 절했다. 강씨는 단에게 말했다.

"이번에 경성에 가거든, 마땅히 군사를 많이 모아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준비하여야 할 것이다. 네가 군사를 일으키고 내가 여기서 내응하면, 이 나라를 넉넉히 차지할 수 있을 것이다. 네가 만일 오생 대신 이 나라 군위에 오르기만 한다면 나는 죽어도 여한이 없다."
"모친께서는 아무 염려 마십시오."

이후 공숙은 경성 太叔(태숙)이라고 불리었다. 태숙은 경성에 도착하자 마자 사냥을 핑계삼아 군사훈련에 여념이 없었다. 또한 이웃지방을 빼앗곤 했다. 땅을 빼앗긴 관장이 정장공에게 호소했다. 그러나 정장공은 아무 말이 없었다. 그 때 한 사람이 큰소리로 외쳤다.

"단을 죽여야 합니다."

그는 공자 呂(여)였다.

"무슨 좋은 의견이라도 있느냐?"
"신이 듣건대 신하된 자는 군사를 둘 수 없나니 군사를 기르는 자는 반드시 죽여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이제 태숙이 母后(모후)의 사랑을 믿고, 경성의 견고한 지형을 믿고서 군사를 조련하며 무예를 가르치고 있다 하니 과연 그 뜻이 무엇이겠습니까? 이는 바로 군위를 찬탈하려는 것입니다. 그러니 주공께서는 군사를 경성으로 보내어 단을 잡아오게 하십시오. 그래야만 후환이 없을 것입니다."

정장공이 대답한다.

"단은 모친이 사랑하는 아들이며, 과인이 사랑하는 동생이다. 차라리 땅을 잃을지언정 어찌 형제의 정을 상하게 할 수 있으리오. 경은 망령된 말을 하지 마라. 과인이 알아서 할 것이다."

공자 여는 물러나오며 정경 벼슬에 있는 祭足(제족)에게 푸념을 했다. 그러자 제족이 조용히 대답한다.

"주공은 재주와 지혜를 겸전한 분이오. 그러니 이 일을 그냥 넘어가지는 않으리이다. 다만 여러 사람의 이목이 있기 때문에 속내를 밝히지 않으신 것 뿐이오. 그대는 귀인이며 주공과 친척간이고 높은 벼슬에 있음이라. 타인이 없을 때 주공을 찾아가 보시오. 반드시 주공께서 뜻을 밝히시리이다."

그리하여 공자 여는 다시 정장공을 찾아갔다. 그제서야 정장공이 입을 연다.

"과인은 이미 계책을 세웠다. 하지만 아무런 증거가 없으니 아직은 움직일 수가 없구나. 내가 만일 지금 단을 죽이려 한다면 모친이 반대할 것인 즉, 헛되이 많은 사람의 입에 오르내릴 뿐이다. 또한 세상 사람들은 우리 형제가 우애가 없다고 욕할 것이며 나에게 효심이 없다고 할 것이다. 내가 그를 내버려 두는 것은 일을 꾸며 먼저 반역하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그때에 이르러 죄를 밝혀야 모든 사람들이 내 뜻을 알아줄 것이 아닌가."
"주공께서 앞일을 내다보시는데는 신이 미칠 바가 아닙니다. 그러나 단의 세력이 손쓸 수 없이 커지면 어찌하옵니까? 그러기 전에 먼저 손을 쓰는 것이 상책일까 하옵니다."
"그러면 어떤 계책을 써야 할꼬?"
"주공께서 오랫 동안 周(주)의 조정에 가지 못한 것은 태숙이 무슨 짓을 할지 몰라 안심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주공은 미리 '주 왕실에 간다'는 소문을 내고 떠나십시오. 태숙은 국내에 주공이 없는 틈을 타서 반드시 군사를 일으킬 것입니다. 그때 신이 미리 군사를 거느리고 있다가 경성을 치겠습니다. 주공께서는 周로 가시는 척 하다가 다시 돌아오십시오. 그렇게 하면 쉽게 일이 처리될 것입니다."

그리하여 정장공은 周로 떠났다. 그러자 강씨는 즉시 사람을 시켜 태숙에게 밀서를 보냈다. 그러나 이미 공자 여는 길목마다 사람을 배치하여 밀서를 손에 넣었다. 그 내용을 정장공에게 보고한 후 다시 봉하여 자신의 부하를 시켜 태숙에게 전하고 답장을 받아오라 시켰다. 이에 태숙은 답장을 보냈고, 그 답장을 본 정장공은 크게 기뻐했다.

"이제야 단의 죄목과 증거가 생겼다. 이제 그 누가 그를 두둔할 수 있으리오."

그 이후의 일은 공자 呂의 계책대로였다. 태숙은 스스로 목을 찔러 자살했다. 정장공은 아우 단의 시체를 쓰다듬으며 울었다.

"어리석은 동생아! 네 어찌 이 지경에 이르렀단 말이냐!"

태숙의 시체를 염하는데, 시체의 품 속에 아직도 강씨의 밀서가 있었다. 정장공은 강씨의 밀서와 태숙의 답장을 강씨에게 보냈다. 그리고는 다음과 같이 맹세했다.

"黃川(황천)에 이르기 전에는 다시 만나지 않겠다."

여기에서 周로 떠난다는 소문을 내서 상대방의 행동을 이끌어 낸 '타초경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뒷이야기를 조금 더 하자면, 다음과 같다.

정장공은 동생을 죽이고 어머니까지 멀리하는 자신의 처지를 탄식했다. 이때 영곡땅을 다스리는 영고숙이라는 사람이 찾아왔다. 그는 정장공에게 올빼미 몇 마리를 바쳤다.

"이는 무슨 날짐승인가?"
"이 새는 올빼미라고 합니다. 낮이면 태산도 보지 못하면서 밤이면 바늘구멍까지 분별합니다. 곧 조그만 것은 볼 줄 알지만, 큰 것은 보지 못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올빼미는 어릴 때 어미의 젖을 먹고 자라면서 일단 자라면 그 어미를 쪼아 먹기 때문에 세상에서는 不孝(불효)한 새라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아무 꺼리낌 없이 이 새를 잡아 먹습니다."
"..."

정장공은 아무 대답이 없었다. 이때 찐 염소요리가 들어왔다. 정장공은 염소 다리를 영고숙에게 주었는데 영고숙은 그 고기를 먹지 않고 살을 골라 소매 속에 넣었다.

"왜 먹지 않고 품에 넣느냐?"
"소신에겐 늙은 어머니가 계십니다. 집안이 가난해서 한 번도 맛난 고기를 올리지 못했습니다. 주공께서 이렇게 맛난 고기를 주셨으나, 소신의 늙은 어머니는 한 번도 이런 음식을 맛보지 못했습니다. 그러니 어찌 이 고기가 소신의 목에 넘어가겠습니까. 그래서 어머니께 갖다드리려 합니다."
"그대는 어머니를 지극히 봉양하여 사람의 자식된 도리를 다하는데, 과인은 제후의 지위에 있건만 그대만 못하구나."
"어찌 그런 말씀을 하십니까?"
"과인은 황천에 가기 전에는 다시 만나지 않겠다고 맹세를 했다. 이제 후회한들 맹세를 돌이킬 수 없구나."
"땅을 파서 샘물이 나거든, 그곳에 지하실을 만드십시오. 그 곳에서 모친을 만나십시오. 그러면 황천에서 만나겠다는 맹세를 지킨 것이 됩니다."

黃川(황천)은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흐르는 강'을 말한다. 이에 정장공이 한 맹세인 '황천에 가기 전에는 만나지 않겠다'는 말은 '죽기 전에는 만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이에 영고숙은 이를 문자 그대로 풀어 '지하를 흐르는 누런 강'이라는 뜻으로 해석해 낸 것이다.

이리하여 정장공은 강씨를 만나 효를 다하였고, 영고숙은 대부의 벼슬에 올랐다.


또 다른 예는 중국의 마오쩌둥[毛澤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국의 마오쩌둥은 반공사조(反共思潮) 완화정책으로 명방운동(鳴放運動)을 펴, 지식인과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도록 보장해 준다고 선포했다.

이 명방운동은 '온갖 꽃이 같이 피고 많은 사람들이 각기 주장을 편다'는 '백화제방 백가쟁명(百花齊放 百家爭鳴)'이란 구호로 표현되었다. 중국공산당은 또 '말한 자는 죄가 없고 들은 자는 반성해야 한다'며, 온 국민이 공산당 숙당운동(肅黨運動)을 도와줄 것을 제기했다. 즉, 잘못이 있다고 생각되면 지위고하를 불문하고 과감히 비판하라고 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지식인들이 공산당을 소리 높여 비판하자, 마오쩌둥은 윤곽이 드러난 지식인들을 즉시 체포하고 정풍운동(整風運動)이란 명분 아래 줄줄이 숙청해 버렸다. 마오쩌둥은 뱀으로 비유되는 지식인들을 동굴로부터 끌어내기 위해 백화제방과 백가쟁명이라는 미끼를 던졌던 것이다.


관련 한자어

近義詞

操之過急 | 因小失大 |

반의어

欲擒姑縱(욕금고종) | 出其不意 | 不動聲色 | 引蛇出洞 |

참조어

指桑罵槐(지상매괴) |


酉陽雜俎, 유양잡조, 三十六計, 三十六計:攻戰計, 水滸傳, 水滸傳:029, 水滸傳:039, 水滸傳:069, 西遊記, 西遊記:067 |

貪小失大 (탐소실대)

貪小失大(탐소실대)

貪 탐낼 탐 | 小 작을 소 | 失 잃을 실, 놓을 일 | 大 클 대, 큰 대, 클 태, 클 다 |

작은 이익(利益)을 탐하여 큰 이익(利益)을 잃어버림


전국(戰國)시대, 진(秦)나라 혜왕(惠王)은 군대를 동원하여 촉(蜀)나라를 치려고 하였으나, 험한 산세에 길이 없어서 진군(進軍)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진혜왕은 탐욕스런 촉왕을 속이기 위해 실물 크기의 돌소(石牛) 다섯 개를 만들어, 돌소의 꼬리에 번쩍거리는 황금을 달아 놓고, 신우(神牛)가 황금의 변(便)을 본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이 소식을 들은 촉왕이 신기한 돌소에 군침을 흘리자, 혜왕은 촉왕에게 돌소를 대가없이 주겠다고 하였다. 하지만 돌소를 차지하게 된 촉왕은 그것들을 운반해 올 방법이 없었다. 이에 진왕은 그에게 길을 만들어 돌소를 옮겨 가도록 제안했다.

재물에 눈먼 촉왕은 백성들을 동원하여 길을 만들었다. 그러나 길이 뚫리자 진나라의 20만대군은 일거에 촉나라를 멸하고 말았다. 훗날 남북조(南北朝)시대 북제(北齊)의 유주(劉晝)는 유자신론(劉子新論) 탐애(貪愛)편에서 이 일을 촉왕의 멸국망신하여 세상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었는데, 이는 작은 이익을 탐하다 큰 이익을 잃어버린 꼴이다[以貪小利失其大利也]라고 하였다.

貪小失大란 작은 이익을 탐하여 큰 이익을 잃어버림을 뜻한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小貪大失(소탐대실) | 貪小利失大利(탐소리실대리) |

他山之石 (타산지석)

他山之石 (타산지석)

他山之石(tāshānzhīshí)

他 다를 타 | 山 메 산 | 之 갈 지 | 石 돌 석 |

다른 산의 돌. 이 다른 산에서 나온 하잘 것 없는 돌이라도 자기의 玉(옥)을 가는 데에 소용이 된다(他山之石 可以攻玉․타산지석 가이공옥)는 뜻. 자기보다 못한 사람의 하찮은 言行(언행)일지라도 자기의 智德(지덕)을 연마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말이다.


이 말은 '『시경(詩經)』, 소아편(小雅篇) 학명(鶴鳴)'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시의 한 구절이다.

학이 산 속 깊은 못가에서 우니(鶴鳴于九皐․학명우구고)
그 소리 멀리 들에까지 들리누나(聲聞于野․성문우야)
물고기는 연못 깊숙이 숨어 살지만(魚潛在淵․어잠재연)
때로는 물가에 나와 놀기도 하네(或在于渚․혹재우저)

즐거울사 저기 저 동산위에는(樂彼之園․낙피지원)
한그루 심어놓은 박달나무 있고(爰有樹檀․원유수단)
그 아래엔 낙엽만 흩어져 있네(其下維 ․기하유탁)

다른 산의 하찮은 돌이라지만(他山之石․타산지석)
옥을 가는 숫돌로 쓸 수 있다네(可以爲錯․가이위착)

학이 산 속 깊은 못가에서 우니(鶴鳴于九皐)
그 소리 멀리 하늘까지 들리누나(聲聞于天․성문우천)
물고기가 물가에 나와 놀아도(魚在于渚․어재우저)
때로는 연못 깊이 숨기도 하네(或潛在淵․혹잠재연)

즐거울사 저기 저 동산위에는(樂彼之園․낙피지원)
한 그루 심어놓은 박달나무 있고(爰有樹檀․원유수단)
그 아래엔 닥나무만 있네(其下維穀․기하유곡)

다른 산의 하찮은 돌이라지만(他山之石․타산지석)
옥을 가는 데는 쓸 수 있겠네(可以攻玉․가이공옥)

옥이 들어 있는 옥돌은 强度(강도)가 다른 돌로 갈아야 갈리지 같은 옥돌로는 갈리지 않는다. 이 시에 나오는 학과 물고기는 草野(초야)에 있는 어진 사람들을 비유했고 이 시는 이들을 불러다 임금의 德(덕)을 가는 숫돌로 삼으라고 지었다는 작품이다.

절차탁마(切磋琢磨)라는 말과 함께 인간의 인격수양과 관련한 명구(名句)로, 흔히 '타산지석으로 삼다'라고 쓴다.

卓文君 (탁문군, Zhuó Wénjūn)

卓文君(탁문군)

異名: 卓文君(Zhuó Wénjūn)


쓰촨성 린충[臨邛]의 부호 탁왕손(卓王孫)의 딸. 부친의 손님이었던 사마상여(司馬相如, BC 179~BC 117)와 청두로 사랑의 도피를 하였다. 도피 후 두 사람의 생활은 극도로 가난하고 궁하여 수레와 말을 팔아 선술집을 차렸다. 문군이 술을 팔고, 상여는 시중에 나가 접시닦이 일을 하였다고 한다.


탁문군 관련 한시

白頭吟(백두음)

唾面自乾 (타면자건)

타면자건(唾面自乾)

唾 침 타 | 面 얼굴 면 | 自 스스로 자 | 乾 마를 건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으면 그것이 저절로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는 뜻으로 처세에는 인내가 필요함을 강조한 말


당나라의 측천무후(則天武后)는 중종(中宗)·예종(睿宗)을 제쳐놓고 정권을 독차지하여 자신의 권세를 유지하기 위해 탄압책을 쓰는 반면, 유능한 인사를 많이 등용해 정치를 담당시켰기 때문에 천하는 그런대로 태평했다. 그 무렵의 유능한 신하 중 누사덕(屢師德)이라는 자가 있었다. 그는 온후하고 관인(寬仁)하여 다른 사람이 아무리 무례하게 대들더라도 상관하지 않았다.

한번은, 아우가 대주(代州) 자사(刺史)로 임명되어 부임하려고 했을 때 이렇게 훈계했다.

"우리 형제가 다같이 출세하고, 황제의 총애를 받는 건 좋지만, 그만큼 남의 시셈도 남보다 갑절은 된다. 그런데 그 시샘을 면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다고 생각하느냐?"

"비록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더라도 결코 상관하지 않고 잠자코 닦습니다. 만사를 이런 식으로 사람을 응대하여, 결코 형님에겐 걱정을 끼치지 않습니다."

"내가 염려하는 바가 바로 그것이다. 어떤 사람이 너에게 침을 뱉은 것은 너에게 뭔가 화가 났기 때문이다. 그런데 네가 그 자리에서 침을 닦으면 상대의 기분을 거스르게 되어 상대는 틀림없이 더욱더 화를 낼 것이다. 침 같은 건 닦지 않아도 그냥 두면 자연히 말라 버리니, 그런 때는 웃으며 침을 받아 두는 게 제일이다."

[출전] 십팔사략(十八史略)

貪賂無藝 (탐뢰무예)

貪賂無藝(탐뢰무예)

貪 탐할 탐 | 賂 뇌물 뢰 | 無 없을 무 | 藝 다할 예 |

뇌물(賂物)을 탐함에 그 끝이 없음


국어(國語) 진어(晉語) 8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춘추시기, 숙향(叔向)이라는 사람이 한선자(韓宣子)를 만나러 갔다. 한선자가 나는 명색이 임금 아래에 있는 경(卿)인데도 재물이 많지 않네 라고 말하자, 숙향은 그에게 축하한다고 하며 다음과 같은 고사를 들려 주었다.

옛날 난무자(欒武子)라는 이가 경대부를 지낼 때, 겨우 1백명의 하인에 2백 경(頃)의 땅만을 소유하였으며, 집안에는 조상들에게 제사지낼 그릇조차 변변히 없었습니다. 그는 다만 선왕(先王)들의 법령과 덕행으로 일을 처리하여 많은 백성들로부터 존경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아버지의 자리를 물려 받은 그의 아들은 포악하고 탐욕스러워 많은 재물들을 긁어 모았습니다. 그의 행동은 마땅히 벌을 받아야 하지만, 아버지의 덕행으로 화를 면할 수 있었습니다. 경께서는 난무자처럼 재산이 없으시니, 덕정(德政)을 펴시어 화를 면할 수 있을 것이기에, 저는 축하를 드렸던 것입니다.

貪賂無藝는 탐욕무예(貪欲無藝) 라고도 하며, 뇌물을 탐함에 그 끝이 없음을 뜻한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貪欲無藝(탐욕무예) |

貪官汚吏 (탐관오리)

貪官汚吏(탐관오리)

贪官污吏(tānguānwūlì)

욕심 많은 관원과 마음이 깨끗하지 못한 관리, 부패한 관리.

corrupt official, venal official

彈冠相慶 (탄관상경)

彈冠相慶(탄관상경)

彈 탄알 탄 | 冠 갓 관 | 相 서로 상 | 慶 경사 경 |

벼슬하게 된 것을 서로 축하(祝賀)함을 비유한 말


한서(漢書) 왕길전(王吉傳)의 이야기.

서한(西漢) 시기, 낭야(琅야; 지금의 산동 제성)에 왕길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배우기를 좋아하였고, 품행이 단정하였다. 선제(宣帝)의 휘하에서 관리를 지내면서도 항상 밤 늦도록 책을 읽었다. 그의 아내는 매일 밤참으로 대추를 내놓았다.

어느 날, 왕길은 아내가 옆집 대추나무에서 그 대추를 몰래 따냈음을 알고, 그녀를 내쫓아버렸다. 이웃사람들은 그에게 아내를 다시 데려오라고 했지만, 그는 옆집 사람이 대추를 수확한 다음에 아내를 데려 오겠다고 했다. 왕길은 황제들에게 몇 차례 글을 올려 그들의 향락 행위와 조정의 일에 대하여 간언하였다. 이 일로 그는 큰 벼슬을 하게 되었는데, 그의 고향 친구인 공우는 이 소식을 듣고, 마침내 자기에게도 벼슬할 기회가 왔다고 생각하고, 자기 모자의 먼지를 툭툭 털면서 벼슬에 나아갈 준비를 하였다.


출전

한서(漢書) 권72 열전(列傳)제42 왕길전(王吉傳)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 활용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