寬弘磊落 (관홍뇌락)

寬弘磊落(관홍뇌락)

마음이 너그럽고 활달하여 작은 일에 구애되지 아니함.

光風霽月 (광풍제월)

光風霽月(광풍제월)

군자의 인품이나 치세(治世)를 맑은 날 바람과 비 갠 후의 달빛에 비유

새 정부에 대한 국민의 바람을 담아 교수신문에서 선정한 2008년 희망의 사자성어


2008년 | 희망의 사자성어 | 교수신문

管鮑之交 (관포지교)

管鮑之交(관포지교)

管鲍之交(guǎnbàozhījiāo)

管 대롱 관,주관할 관 | 鮑 절인 물고기 포 | 之 갈 지 | 交 사귈 교 |


옛날 중국(中國)의 관중(管仲)과 포숙(鮑叔)처럼 친구(親舊) 사이가 다정(多情)함을 이르는 말, 친구(親舊) 사이의 매우 다정(多情)하고 허물없는 교제(交際)


《사기(史記)》 〈관안열전(管晏列傳)〉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관중과 포숙은 죽마고우로 둘도 없는 친구 사이였다. 어려서부터 포숙아는 관중의 범상치 않은 재능을 간파하고 있었으며, 관중은 포숙아를 이해하고 불평 한마디 없이 사이좋게 지내고 있었다.

두 사람은 벼슬길에 올라 관중은 공자(公子) 규(糾)를 섬기게 되고 포숙아는 규의 아우 소백(小白)을 섬기게 되었다. 그런데 얼마 안가서 두 공자는 왕위를 둘러싸고 격렬히 대립하게 되어 관중과 포숙아는 본의 아니게 적이 되었다. 이 싸움에서 소백이 승리했다. 그는 제나라의 새 군주가 되어 환공(桓公)이라 일컫고, 형 규를 죽이고 그 측근이었던 관중도 죽이려 했다. 그때 포숙아가 환공에게 진언했다. "관중의 재능은 신보다 몇 갑절 낫습니다. 제나라만 다스리는 것으로 만족하신다면 신으로도 충분합니다만 천하를 다스리고자 하신다면 관중을 기용하셔야 하옵니다." 환공은 포숙아의 진언을 받아들여 관중을 대부(大夫)로 중용하고 정사(政事)를 맡겼다.

재상(宰相)이 된 관중은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마음껏 수완을 발휘해 환공으로 하여금 춘추(春秋)의 패자(覇者)로 군림하게 했다. 성공한 후 관중은 포숙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다음과 같이 회고하고 있다.

"내가 젊고 가난했을 때 포숙과 함께 장사를 하면서 언제나 그보다 더 많은 이득을 취했다. 그러나 포숙은 나에게 욕심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그는 내가 가난한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또 몇 번씩 벼슬에 나갔으나 그때마다 쫓겨났다. 그래도 그는 나를 무능하다고 흉보지 않았다. 내게 아직 운이 안 왔다고 생각한 것이다. 싸움터에서 도망쳐 온 적도 있으나 그는 나를 겁쟁이라고 하지 않았다. 나에게 늙은 어머니가 계시기 때문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공자 규가 후계자 싸움에서 패하여 동료 소홀(召忽)은 싸움에서 죽고 나는 묶이는 치욕을 당했지만 그는 나를 염치없다고 비웃지 않았다. 내가 작은 일에 부끄러워하기 보다 공명을 천하에 알리지 못함을 부끄러워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를 낳아준 이는 부모이지만 나를 진정으로 알아준 사람을 포숙아다[生我者父母 知我者鮑子也]."

[유래]
史記(사기) : 管晏列傳(관안열전) |


참조 한자어

유의어

知音人(지음인) | 知音(지음) | 芝蘭之交(지란지교) | 知己之友(지기지우) | 知己(지기) | 猶魚有水(유어유수) | 魚水親(어수친) | 魚水之親(어수지친) | 魚水之交(어수지교) | 心友(심우) | 水魚之親(수어지친) | 水魚之交(수어지교) |
水魚(수어) | 伯牙絶絃(백아절현) | 刎頸之友(문경지우) | 刎頸之交(문경지교) | 莫逆之友(막역지우) | 淡水之交(담수지교) | 淡交(담교) | 斷金之交(단금지교) | 斷金之契(단금지계) | 金石之交(금석지교) | 金石之契(금석지계) | 金蘭之誼(금란지의) | 金蘭之交(금란지교) | 金蘭之契(금란지계) | 金蘭交(금란교) | 金蘭契(금란계) | 膠漆之心(교칠지심) | 膠漆之交(교칠지교) | 高山流水(고산유수) |

반의어

市道之交(시도지교) |


관련 인물

管仲(관중)


史記(사기):管晏列傳(관안열전) |

果珍李奈 (과진리내)

果珍李奈(과진리내)

果 과실 과 | 珍 보배 진 | 李 | 오얏 리(이) | 柰 능금나무 내 |

과실(果實) 중(中)에 오얏과 능금이 진미(珍味)임

[출전]
千字文(천자문)

管仲 (관중, ?~BC 645)

管仲(관중, ?~BC 645)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재상. 소년시절부터 평생토록 변함이 없었던 포숙아와의 깊은 우정은 '관포지교'라 하여 유명하다. 환공을 도와 군사력의 강화, 상업·수공업의 육성을 통하여 부국강병을 꾀하였다.

본명관이오
국적중국
활동분야정치, 행정
출생지중국 허난성 잉수이
주요저서管子(관자)


가난했던 소년시절부터 평생토록 변함이 없었던 포숙아(鮑叔牙)와의 깊은 우정은 '관포지교(管鮑之交)'라 하여 유명하다. 환공(桓公)이 즉위할 무렵 환공의 형인 규(糾)의 편에 섰다가 패전하여 노(魯)나라로 망명하였다. 그러나 포숙아의 진언(進言)으로 환공에게 기용되어, 국정(國政)에 참여하게 되었다.

환공을 도와 군사력의 강화, 상업·수공업의 육성을 통하여 부국강병을 꾀하였다. 대외적으로는 동방이나 중원(中原)의 제후(諸侯)와 9번 회맹(會盟)하여 환공에 대한 제후의 신뢰를 얻게 하였으며, 남쪽에서 세력을 떨치기 시작한 초(楚)나라를 누르려고 하였다. 저서로 알려진 《管子(관자)》는 후세 사람들에 의하여 가필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주요 작품

管子(관자)


관련 한자어

管鮑之交(관포지교)

瓜田李下 (과전이하)

瓜田李下(과전이하)

오이밭과 오얏나무 밑이라는 뜻으로, 과전불납리(瓜田不納履)와 이하부정관(李下不整冠)을 준말. 오이 밭에서 신을 고쳐 신지 말고 오얏나무 밑에서 갓을 고쳐 쓰지 말라는 뜻으로 불필요한 행동을 하여 다른 사람에게 오해를 받지 말라는 말.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李下(이하) | 瓜田李下(과전이하) |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


관련 속담

동의어·유의어

¶ 오이 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않는다.
¶ 오얏나무 아래서는 갓을 고쳐 쓰지 마라.

瓜田不納履 (과전불납리)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瓜田不纳履(guātián bù nà lǚ)。

瓜 오이 과 | 田 밭 전 | 不 아닐 불, 아닐 부 | 納 들일 납 | 履 밟을 리(이), 신 리(이) |

외밭에 신을 들여 놓지 않음. 곧 남에게 의심을 살 일은 아예 하지 않음의 비유.


제(齊)나라의 위왕(威王)은 간신인 주파호(周破胡)의 옳지 않은 말만 믿고 나라를 잘못 다스렸다. 위왕의 후궁인 우희(虞姬)가 보다 못해서 왕께 간했다.

"파호는 속이 검은 사람이니 등용(登用ㆍ登庸)해서는 안되며, 북곽(北郭) 선생은 현명하고 덕행(德行)이 있는 분이라 등용(登用ㆍ登庸)하시옵소서."

이 말을 전해들은 파호는 도리어 우희와 북곽 선생 사이가 수상쩍다고 모함했다. 이에 위왕이 우희를 국문하자, 우희가 아뢰었다.

"소첩을 지금 간사한 무리들이 모함하고 있을 뿐 결백하옵니다. 만약 죄가 있다면 오이 밭에서 신을 바꾸어 신지 않고, 이원(李園)을 지날 때에 갓을 고쳐 쓰지 않는다는 가르침에 따르지 않고 의심(疑心)받을 수 있는 행위를 한 것 뿐이옵니다. 하오나 설사 죽음을 당한다 할지라도 소첩은 더 이상 변명하지 않겠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거니와 파호에게 국정을 맡기심은 나라의 장래(將來)를 위해 매우 위태(危殆)로운 일입니다."

위왕은 비로소 깨닫고 간신 아대부(阿大夫)와 파호를 삶아 죽이게 했으며, 그 후 제나라는 잘 다스려졌다고 한다.

《문선(文選)》 악부(樂府)·고사(古辭) 4수 중의 〈군자행(君子行)〉에서 나온 말로, 첫머리에 "군자방미연 불처혐의간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君子防未然 不處嫌疑間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이라는 구절이 있다.


출전

문선(文選)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 瓜田之履(과전지리) | 瓜田李下(과전이하)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

郭子儀 (곽자의, Guō Zǐyí, 697~781)

郭子儀(곽자의, 697~781)

異名: 郭子仪(Guō Zǐyí)
국적: 중국 당
활동분야: 군사


중국 당(唐)나라의 무장(武將).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나자 중원(中原)의 반란군을 토벌했고 위구르의 원군을 얻어 창안과 뤄양을 수복했다. 토번(티베트)이 창안을 치려 하자 위구르를 회유(懷柔)하고 토번을 무찔렀다.


화저우[華州:陝西省] 정셴[鄭縣] 출생. 천보(天寶) 연간(742~756)에는 북경(北境) 방위를 맡아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 휘하에 있었는데, 안녹산(安祿山)의 난이 일어나자 삭방의 군사를 거느리고 하동절도사(河東節度使) 이광필(李光弼)과 함께 중원(中原)의 반란군을 토벌하였다. 756년에 숙종(肅宗)이 서북의 영무(靈武)에서 즉위한 후에는 황태자 광평왕(廣平王:뒤의 代宗) 밑에서 부원수(副元帥)가 되어 관군의 총지휘를 맡았으며, 위구르(Uigur:回紇)의 원군을 얻어 창안[長安]과 뤄양[洛陽]을 수복하였다.

그러나 그와 같은 공로에도 불구하고 환관(宦官) 어조은(魚朝恩) 등의 배척으로 한때 실각하였다. 그 후 대종의 광덕(廣德) ·영태(永泰) 연간에 토번(吐蕃:티베트)이 복고회은(僕固懷恩) 등과 연합하여 창안을 치려고 하자 다시 기용되어, 위구르를 회유(懷柔)하고 토번을 무찔러 당나라를 구하였다. 그의 무공은 비할 데가 없다고 칭송되어, 상부(尙父)의 칭호를 받고 분양왕(汾陽王)에 봉해졌으며, 당나라 최대의 공신으로서 영광을 누렸다.

管子 (관자)

管子(관자) 管仲(관중, ?~BC 645)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제(齊)나라 재상(宰相) 관중(管仲)이 부민, 치국, 경신, 포교를 서술(敍述)하고 패도정치(政治)를 역설(力說)하기 위해 지었다고 전해지는 책(冊). 원본(原本)은 86편이었다고 하나 원(元)나라 이후(以後) 76편이 남아 있음.

저자관중(管仲)
시대중국 춘추시대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사상가·정치가인 관중(管仲:?~BC 645)이 지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 내용으로 보아 제나라의 국민적 영웅으로 칭송되던 현상(賢相) 관중의 업적을 중심으로 하여 후대의 사람들이 썼고, 전국시대에서 한대(漢代)에 걸쳐서 성립된 것으로 여겨진다.

전한(前漢)의 학자 유향(劉向)의 머리말에는 86편이라고 되어 있는데, 현재 보존되어 있는 것에는 10편과 1도(圖)가 빠져 있다.

내용은 법가적(法家的) 색채가 농후하고, 때로는 도가적(道家的)인 요소가 섞여 있기 때문에 《한서(漢書)》에서는 도가(道家)에, 《수서(隋書)》에서는 법가(法家)에 넣고 있다. 정치의 요체(要諦)는 백성을 부유하게 하고, 백성을 가르치며, 신명(神明)을 공경하도록 하는 세 가지 일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백성을 부유하게 하는 일이 으뜸이라고 하였다.


관련 한자어

勞而無功(노이무공) 수고롭기만 하고 공이 없다. 형세편

過猶不及 (과유불급, guòyóubùjí)

過猶不及(과유불급)

guòyóubùjí


정도가 지나친 것은 이르지 못한 것과 같다. 정도가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다름이 없다는 뜻. 중용을 꾀하라는 말.

To go beyond is as wrong as to fall short.


어느날 子貢(자공)이 스승 孔子(공자)에게 물었다.

“선생님, 子張(자장)과 子夏(자하)중 누가 더 낫습니까.”

자장과 자하는 둘 다 공자의 제자다. 이 두사람의 성격은 매우 대조적이었다. 자장은 每事(매사)에 극단으로 치닫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자하는 언제나 소극적이었다. 공자는 잠깐 생각해보곤 이렇게 대답했다.

"글쎄, 자장은 지나친 면이 있고 자하는 미치지 못하는 점이 많은 편이지."

"그렇다면 자장이 낫다는 말씀이군요."

공자는 자공의 성급한 판단을 나무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렇지 않아. 지나침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지(過猶不及)"

瓜田不納履李下不整冠 (과전불납리이하부정관)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

오이 밭에서는 신이 벗겨져도 다시 신지 아니하며 자두나무 밑에서는 갓을 고쳐 쓰지 않는다. 남에게 의심받을 일은 하지 마라.


출전

군자행(君子行) |

군자방미연 불처혐의간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君子防未然 不處嫌疑間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瓜李(과리) | 瓜李之嫌(과리지혐) |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

光而不耀 (광이불요)

光而不耀(광이불요)

빛나되 번쩍거리지 않음

노자 도덕경 58장에 나오며 학덕과 공적을 조용히 쌓을 뿐, 스스로 자신의 우월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을 이름.

觀於濁水迷於栗園 (관어탁수미어율원)

觀於濁水迷於栗園(관어탁수미어율원)

觀 볼 관 | 於 어조사 어, 탄식할 오, 어조사 우 | 濁 흐릴 탁 | 水 물 수 | 迷 미혹할 미 | 於 어조사 어, 탄식할 오, 어조사 우 | 栗 밤 율, 밤 률, 두려워할 율, 두려워할 률, 찢을 열, 찢을 렬 | 園 동산 원 |

흐린 물속을 들여다보고 밤나무 밭에서 길을 잃다

觀水洗心觀花美心 (관수세심관화미심)

觀水洗心 觀花美心(관수세심 관화미심)

물을 보며 마음을 씻고, 꽃을 보며 마음을 아름답게 하라.

2011년 6월 삼성테크윈의 감사 결과 등으로 삼성 내 자정 경영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삼성그룹의 경영 메시지로 사용.

郭璞 (곽박, Guō Pú, 276~324)

郭璞(곽박, 276~324)

異名: 郭璞(Guō Pú), 자 경순(景純)
국적: 중국 진(晋)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중국 문희(聞喜:山西省)
주요작품: 《유선시(遊仙詩)》 《강부(江賦)》등


중국 진나라의 시인 겸 학자. 유곤(劉琨:越石)과 더불어 서진(西晋) 말기부터 동진(東晋)에 걸친 시풍(詩風)을 대표하는 시인이다. 시에는 노장(老莊)의 철학이 반영되어 있으며, 《유선시(遊仙詩)》 14수가 특히 유명하다. 부(賦)에서는 《강부(江賦)》가 널리 알려져 있다.


자 경순(景純). 문희(聞喜:山西省) 사람. 원제(元帝:司馬睿) 때 저작좌랑(著作佐郞)과 상서랑(尙書郞)을 역임하였으며, 나중에 정남대장군(征南大將軍) 왕돈(王敦)의 기실참군(記室參軍)이 되었는데, 왕돈이 무창(武昌)에서 반란을 일으켰을 때 반대하였다가 살해당하였다. 유곤(劉琨:越石)과 더불어 서진(西晋) 말기부터 동진(東晋)에 걸친 시풍(詩風)을 대표하는 시인이다. 시에는 노장(老莊)의 철학이 반영되어 있으며, 《유선시(遊仙詩)》 14수가 특히 유명하다. 부(賦)에서는 《강부(江賦)》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아(爾雅)》 《산해경(山海經)》 《방언(方言)》 《초사(楚辭)》 등에 주(註)를 달았다.

關門捉賊 (관문착적)

關門捉賊(관문착적)

关门捉贼(guānmén zhuōzéi)

關 관계할 관,당길 완 | 門 문 문 | 捉 잡을 착 | 賊 도둑 적 |


문을 닫아 걸고 도둑을 잡다.


三十六計(삼십육계) 混戰計(혼전계) 제22계. 문을 닫아 걸고 도둑을 잡는다. 적이 도망갈 곳을 막아두고 적을 완전섬멸한다는 의미이다. 살려두어 후환을 남기지 않기 위해 사용되는 계략이다.

하지만 이러한 '완전포위'의 개념은 앞에서 본 '欲擒姑縱(욕금고종; 큰 것을 얻기 위해 작은 것을 풀어주다)' 등의 계략과도 상충되는 듯 보인다. 궁지에 몰린 쥐는 고양이를 물듯이, 적의 도망칠 곳을 열어주어 적의 신경을 도망칠 곳으로 끈 다음, 도망치려는 적을 공격하는 식의 계략이 앞서 나온 '욕금고종' 이었다. 그리고 이는 손자병법에서도 논파하고 있는 바와 같다.

이에 대하여 풀이글은 다음과 같이 얘기하고 있다.
"약소한 적은 포위해서 섬멸한다. 다만 궁지에 몰린 적은 필사적으로 반항하기 때문에 지나친 추격은 피한다.[小敵困之.剝,不利有攸往.]"

결국 위에서 얘기한 것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는 것이다. 포위할 때는 반격을 조심한다. 다만, 적이 '약'할 경우에 완전소탕을 하라는 의미인 것이다.

사례를 보도록 하자. 삼국지연의 이야기이다. 사마의에게 가로막혀 번번히 북벌이 좌절당한 제갈량은 사마의를 죽이기로 마음을 먹는다. 그리하여 상방곡(호로곡)에 영채를 치고 사마의를 유인했다. 사마의는 기산을 촉군의 본거지로 보고 그곳을 공격하는척 한후, 군사들이 나오면 상방곡의 군량을 습격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상방곡에는 위연이 대기하고 있었다. 그곳에 사마의가 오자 위연은 싸우다가 거짓으로 패한 채하며 물러났다. 위연은 군사를 이끌고 골짜기 안으로 물러나 들어갔다. 사마의는 사람을 시켜 골짜기 안을 탐색해 보게 했다.
"골짜기 안에는 복병이 하나도 없고, 산꼭대기마다 모두 초막이 있사옵니다."
"그것은 분명히 군량을 쌓아둔 것일게다."

사마의는 즉시 군사를 이끌고 골짜기 안으로 들어왔다. 사마의가 얼핏 보니 초막 위에는 모두 마른 나무와 풀이고, 위연은 어디로 갔는지 보이지도 않았다. 사마의는 문득 의심이 들었다.
"만약 적군이 골짜기 어귀를 막는다면 어떻게 하느냐?"
미처 말이 다 끝나기도 전에 함성이 울리며 산 위에서 불다발이 떨어졌다. 이로 인해 골짜기 안은 온통 불바다가 되었다. 위군은 달아나려 해도 길이 없었다. 산 위에서는 불화살이 쏟아져 내리고 지뢰가 일제히 폭발했다. 초막 안 마른 나무에 모두 불이 붙어 불꽃은 무서운 소리를 내며 하늘 높이 치솟았다. 사마의는 놀라 꼼짝도 할 수 없었다. 말에서 내려 통곡을 할 수 밖에 없었다.

한참 울고 있는데 갑자기 바람이 미친듯 불어닥치며 검은 구름이 하늘을 뒤덮었다. 그리고는 갑자기 소나기가 내려 골짜기의 불을 모두 꺼버렸다. 지뢰도 터지지 않고 화기도 힘을 잃었다. 사마의는 가까스로 살아나 도망쳤다. 제갈량은 '抛塼引玉(포전인옥)'으로 사마의가 군량을 노리게 하고, 함정에 빠뜨려 '관문착적'으로 섬멸하려 한 것이다.

이렇게 제갈량은 출구를 막아두고 또한 반격을 당할 우려조차 없는 상태로 만들어 사마의를 없애려고 하였으나 소나기가 내려 사마의를 또다시 놓치고...결국엔 사마의에 가로막혀 북벌을 완수하지 못하고 천명을 다하게 된다. 퇴로를 완전히 차단하고 반격의 우려조차 없게한 상황에서 완전한 섬멸전을 펼친 제갈량. 소나기라는 뜻하지 않은 복병을 만나지만 않았다면 삼국의 운명은 달라졌을 것이다라고 고시(古詩)는 전하고 있다.

그런데 상방곡(호로곡)의 지형에 대해 최근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실제로 좁은 계곡에 큰 불을 내면 주위의 수분이 상승해 소나기를 내리게 된다고 한다.


참조 한자어

참조어
欲擒姑縱(욕금고종) |

刮目相對 (괄목상대)

刮目相對(괄목상대)

눈을 비비고 상대한다. 몰라볼 정도로 실력이나 지위가 향상된 것을 두고 하는 말.


魏(위) 吳(오) 蜀(촉) 삼국이 鼎立(정립)하고 있을 당시 오나라 왕 孫權(손권)에게는 呂蒙(여몽)이라는 장수가 있었다. 졸병에서 장군까지 오른 그는 촉나라 명장 關羽(관우)를 사로잡기도 한 삼국지의 스타중의 한 명. 그러나 그는 어렸을 때 집안이 무척 가난하여 어렵게 자라느라 공부할 틈이 없어 무식꾼일 수밖에 없었다. 어느날 여몽은 손권으로부터 책을 많이 읽어 학식을 쌓으라는 말을 들었다.

"장군은 이 나라의 대관 아니오. 학문을 하라고 해서 經學(경학)박사가 되라는 말은 아니오. 옛 사람들이 남긴 병법을 이론적으로 익히기 위해서는 책을 많이 읽어야 된단 말이오."

이때부터 시작한 여몽의 공부는 쉴 줄을 모르고 계속되었다. 그는 읽은 책속에서 많은 지식을 얻었고 사물의 이치를 깨우쳤다. 전쟁터에서도 책을 손에서 떼지 않을 정도로 열심이어서 마침내 그의 학식은 상당한 경지에 이르렀다. 언젠가 여몽의 오랜 친구이자 학문이 깊은 걸로 이름난 오나라 重臣(중신) 魯肅(노숙)이 여몽과 토론을 벌이다가 그의 학문이 상당한 경지에 도달한 걸 알고 깜짝 놀랐다.

"나는 그대가 무예만 능하고 학식은 부족한 줄 알았는데 이제 보니 옛날의 여몽이 아니로군."

여몽은 이 말을 받아 이렇게 대꾸했다.

"무릇 선비라면 헤어졌다가 사흘이 지나 만났을 때는 눈을 비비고 상대를 다시 봐야 한다네[刮目相對]"

過目不忘 (과목불망)

過目不忘(과목불망)

过目不忘(guòmùbùwàng)

過 지날 과, 재앙 화 | 目 눈 목 | 不 아닐 불,아닐 부 | 忘 잊을 망 |


한번 보면 잊지 않다. 기억력이 대단히 좋다.


널리 듣고 보고 잘 기억한다는 뜻의 박문강기(博聞强記)와 같은 말이며, 한번 본 것은 평생 잊지 않을 만큼 기억력이 뛰어난 것을 말한다. 《삼국연의(三國演義)》에서 유래한 성어(成語)이다.

익주의 선비 장송(張松)은 허도에서 조조(曹操) 휘하의 장수인 양수(楊脩)를 만나 자신의 재주와 학식을 자랑하였다. 양수는 조조의 병법과 학덕을 자랑하며 조조가 지은 《맹덕신서(孟德新書)》를 보여주었더니, 장송이 "《맹덕신서》는 촉나라 어린아이도 다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책은 본래 전국시대의 저서를 조조가 도용하였다"라고 말하였다.

양수가 책의 내용을 외울 수 있느냐고 물었더니 장송은 한 자도 틀리지 않고 끝까지 암송하였다. 그래서 양수는 "눈으로 한번 본 것은 그대가 잊어버리지 않으니 정말로 천하의 뛰어난 재주를 지닌 사람이다[公過目不忘 眞天下之奇才也]"라고 하였다.

장송의 유창한 달변과 박학다식함에 놀란 양수는 조조에게 장송을 천거하면서 《맹덕신서》를 한 번 보고 암송하는 기억력이 매우 뛰어난 사람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조조는 자신의 약점을 낱낱이 말한 장송을 몽둥이로 때려서 내쫓았는데, 유비(劉備)를 찾아가 환대를 받은 장송은 유비에게 익주를 차지해 패권을 잡으라고 권하였다고 전해진다.


관련 한자어

유의어

博聞强記(박문강기) |


Tag

三國演義(Sānguóyǎnyì) : 第060回 | 강건 |

蝌蚪時節 (과두시절)

蝌蚪時節(과두시절)

蝌 올챙이 과 | 蚪 올챙이 두, 규룡 규 | 時 때 시 | 節 마디 절 |

개구리가 올챙이였던 때라는 뜻으로, 현재가 과거보다 발전한 경우 그 발전하기 이전의 과거를 이르는 말.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蝌蚪時代(과두시대) |

夸大其词 (과대기사, kuādàqící)

夸大其词(과대기사,kuādàqící)

과장하여 말하다


과장

過恭非禮 (과공비례)

過恭非禮 (과공비례)

지나치게 공손하면 오히려 예의에 벗어난다

刮骨療毒 (괄골요독)

刮骨療毒(괄골요독)

뼈를 긁어 독을 치료하다.


관공(關公)이 조병(曹兵)을 공격할 때 적군으로 부터 초오(草烏)를 화살촉에 바른 화살을 어깨에 맞아 괄골요독(刮骨療毒) 수술을 받았다. 명의 화타(華陀)가 관우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칼로 살을 째고 뼈를 긁어 내었는데 여기서 나온 고사성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