斗酒百篇(두주백편)
斗酒百篇(dǒujiǔbǎipiān)
斗 말 두,싸울 두,싸울 투,싸울 각 | 酒 술 주 | 百 일백 백 | 篇 책 편 |
술을 좋아하고 시를 잘 짓다.
말술을 마시는 동안에 시 백 편을 쓰다. 두보의 《飮中八仙歌》에서 “李白斗酒诗百篇,长安市上酒家眠”라는 시구에서 나온 말로, 이백이 술 마신 후에 시를 잘 지었음을 칭찬한 말임.
출전: 飮中八仙歌
관련 한시
飮中八仙歌(음중팔선가) |
杜佑 (두우, 735~812)
杜佑(두우, 735~812)
당나라의 정치가·역사가로 덕종 ·순종 ·헌종 등 3제에 걸쳐 재상을 지냈다. 한(漢)나라의 사마 천 이후 제1의 역사가로 인정받았으며 저서 《통전(通典)》는 오늘날에도 제도사 연구상 중요한 자료이다.
자(字) 군경(君卿). 장안(長安) 출생. 증조부 이래 관료를 지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부터 여러 관직을 역임한 후, 덕종(德宗) ·순종(順宗) ·헌종(憲宗) 등 3제(帝)에 걸쳐 재상(宰相)을 지냈다. 그의 시대는 안녹산의 대란(大亂)이 있은 뒤여서 사회적 ·정치적으로 변동기에 해당하였으나, 사회의 움직임에 민감하고 정치에 밝았으며, 부국안민(富國安民)을 자기의 사명으로 생각하였다. 한(漢)나라의 사마 천(司馬遷) 이후 제1의 역사가로 인정받았으며, 저서 《통전(通典)》(200권)은 상고(上古)로부터 당의 현종조(玄宗朝)까지 역대의 제도를 9부분으로 분류하여 수록한 역사서로서 오늘날에도 제도사 연구상 불가결한 자료이다. 그 밖의 저서로 《통전》의 요점을 쓴 것으로 생각되는 《이도요결(理道要訣)》 등이 있다.
주요작품
通典(통전)
당나라의 정치가·역사가로 덕종 ·순종 ·헌종 등 3제에 걸쳐 재상을 지냈다. 한(漢)나라의 사마 천 이후 제1의 역사가로 인정받았으며 저서 《통전(通典)》는 오늘날에도 제도사 연구상 중요한 자료이다.
자 | 군경(君卿) |
국적 | 중국 당 |
활동분야 | 정치 |
출생지 | 중국 장안(長安) |
주요저서 | 通典(통전, 200권), 이도요결(理道要訣) |
자(字) 군경(君卿). 장안(長安) 출생. 증조부 이래 관료를 지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부터 여러 관직을 역임한 후, 덕종(德宗) ·순종(順宗) ·헌종(憲宗) 등 3제(帝)에 걸쳐 재상(宰相)을 지냈다. 그의 시대는 안녹산의 대란(大亂)이 있은 뒤여서 사회적 ·정치적으로 변동기에 해당하였으나, 사회의 움직임에 민감하고 정치에 밝았으며, 부국안민(富國安民)을 자기의 사명으로 생각하였다. 한(漢)나라의 사마 천(司馬遷) 이후 제1의 역사가로 인정받았으며, 저서 《통전(通典)》(200권)은 상고(上古)로부터 당의 현종조(玄宗朝)까지 역대의 제도를 9부분으로 분류하여 수록한 역사서로서 오늘날에도 제도사 연구상 불가결한 자료이다. 그 밖의 저서로 《통전》의 요점을 쓴 것으로 생각되는 《이도요결(理道要訣)》 등이 있다.
주요작품
通典(통전)
Location:
Chang'an, Xi'an, Shaanxi, China
杜撰 (두찬)
杜撰(두찬)
원래는 杜黙(두묵)이 지은 작품이란 뜻. 典據(전거)가 확실하지 못한 저술이나 틀린 곳이 많은 작품을 말한다.
두묵은 宋(송)나라 때 문인으로 그가 지은 시는 당시의 大家(대가) 歐陽修(구양수)의 작품과 함께 인기가 있었다. 그러나 두묵은 흔히 규칙에 어긋난 시, 다시 말하면 韻律(운율)이 맞지 않는 시를 지었는데 그 破格(파격) 때문에 인기를 끌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격식에 맞지 않는 詩文(시문)을 가리켜 「두묵의 작품」(杜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송나라의 왕무가 지은 「야객총서」에 나오는 말이다.
왕무는 또 이 책에서 이렇게도 적고 있다.
『일반적으로 杜는 「그 땅에서 나는 토산물」을 가리키는데 杜자가 붙은 말은 좋지 못하거나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쓰인다. 예를 들면 좋지 못한 밭이나 농장을 杜田(두전) 杜園(두원)이라고 한다. 그리고 집에서 자기 손으로 빚은 묽고 맛없는 술을 杜酒(두주)라고 한다. 그러니까 杜撰도 변변치 못한 작품이란 뜻이 된다』
「두찬」의 語源(어원)에 대해서는 이밖에도 여러가지 異說(이설)이 있다. 한가지만 더 들어보자.
송나라 석문렬이 쓴 「湘山野錄(상산야록)」에서 道敎(도교)의 경전인 「道藏(도장)」에 관해 언급한 대목에도 「두찬」이란 말이 나온다.
『「도장」 5천여권 중 「道德經(도덕경)」 2권만이 진본이고 나머지는 蜀(촉)나라의 두광정이 쓴 僞作(위작)이다. 이때부터 하찮은 위작을 「두찬」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런 식이어서 「두찬」의 어원도 두찬일 수밖에 없다는 말이 있다.
원래는 杜黙(두묵)이 지은 작품이란 뜻. 典據(전거)가 확실하지 못한 저술이나 틀린 곳이 많은 작품을 말한다.
두묵은 宋(송)나라 때 문인으로 그가 지은 시는 당시의 大家(대가) 歐陽修(구양수)의 작품과 함께 인기가 있었다. 그러나 두묵은 흔히 규칙에 어긋난 시, 다시 말하면 韻律(운율)이 맞지 않는 시를 지었는데 그 破格(파격) 때문에 인기를 끌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격식에 맞지 않는 詩文(시문)을 가리켜 「두묵의 작품」(杜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송나라의 왕무가 지은 「야객총서」에 나오는 말이다.
왕무는 또 이 책에서 이렇게도 적고 있다.
『일반적으로 杜는 「그 땅에서 나는 토산물」을 가리키는데 杜자가 붙은 말은 좋지 못하거나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쓰인다. 예를 들면 좋지 못한 밭이나 농장을 杜田(두전) 杜園(두원)이라고 한다. 그리고 집에서 자기 손으로 빚은 묽고 맛없는 술을 杜酒(두주)라고 한다. 그러니까 杜撰도 변변치 못한 작품이란 뜻이 된다』
「두찬」의 語源(어원)에 대해서는 이밖에도 여러가지 異說(이설)이 있다. 한가지만 더 들어보자.
송나라 석문렬이 쓴 「湘山野錄(상산야록)」에서 道敎(도교)의 경전인 「道藏(도장)」에 관해 언급한 대목에도 「두찬」이란 말이 나온다.
『「도장」 5천여권 중 「道德經(도덕경)」 2권만이 진본이고 나머지는 蜀(촉)나라의 두광정이 쓴 僞作(위작)이다. 이때부터 하찮은 위작을 「두찬」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런 식이어서 「두찬」의 어원도 두찬일 수밖에 없다는 말이 있다.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