愚公移山(우공이산)
愚公移山[Yúgōngyíshān]
愚 어리석을 우 | 公 공평할 공 | 移 옮길 이, 크게 할 치 | 山 메 산 |
우공(寓公)이 산을 옮기다. 《열자·탕문(列子·湯問)》에 나오는 말로서 남이 보기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쉬지 않고 꾸준하게 한 가지 일만 열심히 하면 마침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Like the Foolish Old Man who removed the mountains—with dogged perseverance
원래 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열자(列子)》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이야기다.
태형(太形 또는 태행 太行) ·왕옥(王屋) 두 산은 둘레가 700리나 되는데 원래 기주(冀州) 남쪽과 하양(河陽) 북쪽에 있었다. 북산(北山)의 우공(愚公)이란 사람은 나이가 이미 90에 가까운데 이 두 산이 가로막혀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을 덜고자 어느 날 가족을 모아 놓고 말하였다.
"저 험한 산을 평평하게 하여 예주(豫州)의 남쪽까지 곧장 길을 내는 동시에 한수(漢水)의 남쪽까지 갈 수 있도록 하겠다. 너희들 생각은 어떠하냐?"
모두 찬성하였으나 그의 아내만이 반대하며 말하였다.
"당신 힘으로는 조그만 언덕 하나 파헤치기도 어려운데, 어찌 이 큰 산을 깎아 내려는 겁니까? 또, 파낸 흙은 어찌하시렵니까?"
우공은 흙은 발해(渤海)에다 버리겠다며 세 아들은 물론 손자들까지 데리고 돌을 깨고 흙을 파서 삼태기와 광주리 등으로 나르기 시작하였다.
흙을 발해만(渤海灣)까지 운반하는 데 한 번 왕복에 1년이 걸렸다. 이것을 본 친구 황해의 지수(智搜)라는 사람이 그를 비웃으며 만류하자 그는 정색을 하고 대답하였다.
“나는 늙었지만 나에게는 자식도 있고 손자도 있다. 그 손자는 또 자식을 낳아 자자손손 한없이 대를 잇겠지만 산은 더 불어나는 일이 없지 않은가. 그러니 언젠가는 평평하게 될 날이 오겠지”
지수는 말문이 막혔다.
그런데 이 말을 들은 산신령(蛇神)이 산을 허무는 인간의 노력이 끝없이 계속될까 겁이 나서 옥황상제에게 이 일을 말려 주도록 호소하였다. 그러나 옥황상제는 우공의 정성에 감동하여 가장 힘이 센 역신(力神) 과아씨(夸蛾氏)의 두 아들을 시켜 두 산을 들어 옮겨, 하나는 삭동(朔東)에 두고 하나는 옹남(雍南)에 두게 하였다고 한다.
출전·유래
列子(열자) 湯問(탕문) |
관련 한자어
유의어
塵合泰山 진합태산 | 點滴穿石 점적천석 | 積土成山 적토성산 | 積塵成山 적진성산 | 積水成淵 적수성연 | 積小成大 적소성대 | 十伐之木 십벌지목 | 水滴穿石 수적천석 | 水積成川 수적성천 山溜穿石 산류천석 | 磨斧作針 마부작침 | 磨斧爲針 마부위침 |
참조어
風燭殘年(풍촉잔년)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
중국 개혁개방의 아버지 덩샤오핑(鄧小平)은 지난 1987년 중국을 방문한 루드 루버스 네덜란드 총리에게 “중국 속담에 우공이산이란 말이 있다”며 “이는 꾸준하게 한 가지 일에 전념하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는 말로 네덜란드 국민이야말로 우공이산의 표본”이라고 칭찬했다. 당시 국토는 넓었지만 1인당 평균 경작면적이 매우 적었던 중국 입장에선 세계 3위 농산물 수출대국 네덜란드의 지혜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덩샤오핑은 “네덜란드는 중국보다 경작면적은 더 적지만 세계적인 농산물 수출국이 됐다”면서 “중국은 네덜란드의 이러한 점을 배우고 싶다”고 말했다.
ReplyDelete중국이 들고나온 `우공이산(어리석을 만큼 꾸준한 노력이 산을 옮긴다)` 정신이 외교력의 단면이란 생각도 들었다. 한국이 서둘러 꺼내든 통일대박론에 중국이 `그리 만만치 않을 거야`라고 말하는 듯한 인상도 받았다. 중국은 장기전을 각오할 뿐 아니라 허(虛)를 찌르고 실(實)을 찾는 `허허실실` 전략을 함께 구사하고 있다. (2014.04.30)
ReplyDel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