切磋琢磨 (절차탁마)

切磋琢磨(절차탁마)

切磋琢磨(qiēcuōzhuómó)

切 끊을 절, 온통 체 | 磋 갈 차, 삭은 뼈 자 | 琢 다듬을 탁 | 磨 갈 마 |

지난날 ‘절(切)’·‘차(磋)’·‘탁(琢)’·‘마(磨)’는 각각 뼈·상아·옥·돌에 대한 가공을 가리켰음. 옥돌을 자르고 줄로 쓸고 끌로 쪼고 갈아 빛을 내다라는 뜻으로, 옥돌을 갈고 깎은 것처럼 학문 덕행을 닦음.

carve and polish—learn from each other by exchanging views; study and learn by mutual discussion


《대학》에 보면 "…如切如磋者 道學也 如琢如磨者 自修也(자르듯하고 쓸 듯함은 학문을 말하는 것이요, 쪼듯하고 갈 듯함은 스스로 닦는 일이다)"라고 하여 절차는 학문을 뜻하고, 탁마는 수양을 뜻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여절여차여탁여마"에서 여(如)자를 뺀 것이 절차탁마이다.

언변과 재기가 뛰어난 자공이 어느 날 스승인 공자(孔子)에게 묻기를 "선생님, 가난하더라도 남에게 아첨하지 않으며, 부자가 되더라도 교만하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그건 어떤 사람일까요?" "좋긴 하지만,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기고 부자가 되더라도 예를 좋아하는 사람만은 못하니라." 공자(孔子)의 대답(對答)에 이어 자공은 또 묻기를 '『시경(詩經)』'에 선명하고 아름다운 군자는 뼈나 상아를 잘라서 줄로 간 것처럼 또한 옥이나 돌을 쪼아 서 모래로 닦은 것처럼 빛나는 것 같다.'고 나와 있는데 이는 선생님이 말씀하신 '수양에 수양을 쌓아야 한다'는 것을 말한 것일까요?" 공자(孔子)는 이렇게 대답(對答)했다. "자공아 이제 너와 함께 '『시경(詩經)』'을 말할 수 있게 되었구나. 과거의 것을 알려주면 미래의 것을 안다고 했듯이, 너야말로 하나를 듣고 둘을 알 수 있는 인물(人物)이로다."

[출전]
大學(대학) | 詩經(시경)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琢磨(탁마) | 切磋(절차) | 切磨(절마) |

爭天下者必先爭人 (쟁천하자필선쟁인)

爭天下者必先爭人(쟁천하자필선쟁인)

천하를 다투는 사람은 반드시 먼저 사람 얻기를 다툰다. 큰 흐름에 밝은 이는 사람을 얻고, 작은 계책을 살피는 이는 사람을 잃는다.

[출전]

관자(管子)

才占八斗 (재점팔두, cáizhànbādǒu)

才占八斗(재점팔두)

才占八斗(cáizhànbādǒu)

才 재주 재 | 占 차지할 점 | 八 여덟 팔 | 斗 말 두 |


'재주가 여덟 말을 차지한다'라는 뜻으로, 글재주가 출중함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의 건안문학(建安文學)을 대표하는 조식(曹植)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팔두지재(八斗之才)라고도 한다. 조식은 조조(曹操)의 셋째아들로, 어려서부터 문학적 재능이 출중하였다. 붓을 들어 쓰기만 하면 문장이 이루어진다는 뜻의 하필성문(下筆成文)이라는 고사성어가 그에게서 유래되었다. 조조는 이처럼 글재주가 뛰어난 조식을 총애하여 맏아들 조비(曹丕)를 젖혀두고 그에게 왕위를 물려줄 생각까지 하였다.

조조가 죽은 뒤 왕위에 오른 조비는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 시 한 수를 지으라고 하고는 만일 시를 완성하지 못하면 중벌에 처하겠다고 하였다. 조식은 그 말이 떨어지자마자 걸음을 옮겨 일곱 걸음을 걷기도 전에 한 수의 시를 완성하였으니, 이 시가 바로 〈칠보시(七步詩)〉이다. 여기서 유래하여 칠보지재(七步之才: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 시를 지을 수 있을 만큼 뛰어난 글재주)라는 고사성어가 생겼다.

남북조시대의 사령운(謝靈運)은 아름다운 문장으로 당대에 첫손 꼽히는 산수시인(山水詩人)이었다. 그는 조식을 평하여 '천하에 재능이 한 섬이 있다면, 조자건(曹子建:자건은 조식의 자)이 홀로 여덟 말을 차지하고, 내가 한 말, 나머지 세상 사람들이 한 말을 나누어 가진다(天下才有一石, 曹子建獨占八斗, 我得一斗, 今天下共分一斗)'라고 칭찬하였다.

사령운의 평은 송(宋)나라 때 간행된 작자 미상의 《석상담(釋常談)》이라는 책에 실려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재점팔두는 다른 사람이 따르지 못할 정도의 출중한 재능이나 그러한 재능을 지닌 사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八斗之才(팔두지재) |

才高八斗(cáigāobādǒu) 재능이 출중하다. 비범하다. 풍부하다. |

반의어

才疏学浅(cáishūxuéqiǎn) 식견이 넓지 못하고 학문도 깊지 못하다. |

참조어

下筆成文(하필성문) | 下笔成章(xiàbǐchéngzhāng) | 七步之才(칠보지재, qībùzhīcái) | 煮豆燃萁(자두연기) | 煮豆燃豆萁(자두연두기) |



관련 한시

七步之詩(칠보지시) |


釋常談, 석상담, 사령운, 謝靈運, 조식, 曹植 |

才勝德薄 (재승덕박)

才勝德薄(재승덕박)

才 재주 재 | 勝 이길 승 | 德 큰 덕, 덕 덕 | 薄 엷을 박, 동자기둥 벽, 풀 이름 보 |

재주가 많으면 덕이 모자란다.

爭先恐後 (쟁선공후)

爭先恐後(쟁선공후)

爭 다툴 쟁 | 先 먼저 선 | 恐 두려워할 공 | 後 뒤 후 |

爭先恐後란 격렬한 경쟁의 모습을 뜻한다.

한비자(韓非子) 유로(喩老)편의 이야기. 춘추시기, 진(晋)나라에는 왕자기(王子期)라는 유명한 마부가 있었다. 조(趙)나라의 대부 양주(襄主)는 왕자기에게서 말 부리는 기술을 배우고, 그와 마차 달리기 시합을 했다. 그러나 양주는 세 번이나 말을 바꾸었지만 모두 지고 말았다. 몹시 불만스런 표정의 양주에게 왕자기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말을 제어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말의 몸과 수레가 일치되어야 하고, 또 부리는 사람과 말의 마음이 일치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대부께서는 저를 앞지르고자 초조해 하고, 또 앞서 달릴 때에는 제가 뒤쫓아오지나 않을까 하여 걱정하셨습니다[君後則欲逮臣, 先則恐捷于臣]. 대부께서는 앞서든지 뒤서든지간에 내내 저에게 마음을 쓰고 계시니, 어떻게 잘 달릴 수 있겠습니까? 이것이 대부께서 저에게 뒤처진 까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