言直論正 (언직논정)

言直論正(언직논정)

말이 곧고 의론이 바름.

言中有骨 (언중유골)

言中有骨(언중유골)

예사스런 말 속에 단단한 속뜻이 들어 있음.

掩耳盜鐘 (엄이도종)

掩耳盜鐘(엄이도종)

掩 가릴 엄 | 耳 귀 이, 팔대째 손자 잉 | 盜 도둑 도 | 鐘 쇠북 종 |

귀를 막고 종을 훔친다라는 뜻으로, ①자기(自己)만 듣지 않으면 남도 듣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은 행동(行動), ②자기 잘못은 생각 않고 남의 비판을 듣기 싫어 함 ③결코 넘어가지 않을 얕은 수로 남을 속이려 한다는 말


중국 전국시대 말기 진나라의 승상 여불위가 문객들을 동원해 만든 우화집 ‘여씨춘추’에서 나오는 말이다.

진(晉)나라 육경(六經)중의 한 사람인 범씨(范氏)는 중행씨(中行氏)와 함께 다른 네 사람에 의해 망하게 되었다. 범씨가 망하자 혼란(混亂)을 틈타 범씨의 종을 훔치러 들어온 자가 있었다. 하지만 종이 너무 크고 무거워서 망치로 깨서 가져가려고 종을 쳤더니 소리가 크게 울려 퍼져 다른 사람이 올까 두려워 자신의 귀를 막았다는 일화다.

중국 송나라 유학자 주희는 이 일화를 인용해 “종소리가 다른 사람에게 들리는 것이 두려워 자신의 귀를 막는 짓은 지도자가 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출전
呂氏春秋(여씨춘추) 呂不韋(여불위)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掩耳偸鈴(엄이투령) | 掩耳盜鈴(엄이도령) | 掩耳盜鐘(엄이도종) | 掩目捕雀(엄목포작) |

掩耳盜鈴 (엄이도령)

掩耳盜鈴(엄이도령)

掩 가릴 엄 | 耳 귀 이, 팔대째 손자 잉 | 盜 훔칠 도, 도둑 도 | 鈴 방울 령(영) |

제 귀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①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소용(所用)이 없음을 이르는 말 ②방울 소리가 제 귀에 들리지 않으면 남의 귀에도 들리지 않으리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이름


《여씨춘추(呂氏春秋)》의 不苟論(불구론)의 自知篇(자지편)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원래는 귀를 가리고 종을 훔친다는 ‘엄이도종(掩耳盜鐘)’이었는데 후에 종 대신 방울이란 글자를 쓰게 되었다.

진(晉)나라 六卿(육경)의 한 사람인 范氏(범씨) 집안에 대대로 내려오는 큰 종이 있었다. 대표적인 신흥 세력이었던 조간자(趙簡子) 등은 구세력의 핵심인 범길사(范吉射)의 가족을 멸하였는데, 그의 가족 중 살아 남은 자들은 모두 진나라를 탈출하였다.

어느 날, 한 사나이가 이미 몰락해 버린 범길사의 집에 들어와서는 대문에 걸려있는 큰 종을 발견하였다. 그는 그 종을 훔치려고 했으나 종이 너무 무거워 옮길 수 없을 것 같았다. 그는 조각을 내어 가져가려고 망치로 종을 내리쳤다. 그러자 ‘꽝’ 하는 요란한 소리가 났다. 도둑은 다른 사람들이 들을까 겁이 나서 얼른 자기 귀를 막았다고 한다.

이는 자신이 듣지 않는다고 남도 모르는 줄 안다는 것은 남의 말을 듣지 않으려는 독선적이고 어리석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여씨춘추》에서는 임금이 바른 말하는 신하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는 비유로 위나라의 문왕 이야기를 들고 있다. 위나라 문왕이 신하들과 술을 마시며 신하들의 의견을 듣고 있었다. 신하들은 한결같이 왕의 칭찬만 늘어 놓았다. 그러나 임좌(任座)의 차례가 되자 그는 임금의 숨은 약점을 말했다. “전하께서 중산을 멸한 뒤에 아우를 그곳에 봉하지 않으시려고 태자를 봉하신 것은 옳지 않은 일입니다.” 문왕이 불쾌한 표정을 짓자 임좌는 그곳을 뛰쳐나갔다. 그러자 적황이 이렇게 말했다. “옛말에 임금이 어질어야 신하가 바른 말을 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방금 임좌가 바른 말을 하는 것을 보니 전하께서 밝으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문왕은 곧 다시 임좌를 부른 후 몸소 뜰 아래까지 나가 그를 맞아 올리고 상좌에 앉게 했다고 한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掩目捕雀(엄목포작) | 掩耳盜鈴(엄이도령) | 掩耳盜鐘 (엄이도종) | 掩耳偸鈴(엄이투령) |

言語道斷 (언어도단)

言語道斷(언어도단)

말문이 막혔다는 뜻으로, 너무 어이없어서 말하려야 말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於思無思 (어사무사)

於思無思(어사무사)

於 어조사 어, 탄식할 오, 어조사 우 | 思 생각 사, 수염이 많을 새 | 無 없을 무 | 思 생각 사, 수염이 많을 새 |

생각이 날 듯 말 듯하다

漁父之利 (어부지리)

漁父之利(어부지리)

어부의 이득. 도요새와 민물조개의 일종인 방합이 싸우는 틈을 타서 어부가 둘 다 잡았다는 故事(고사)에서 나온 말. 곧 쌍방이 다투는 틈을 이용해 제삼자가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득을 말한다.


전국시대의 어느 해 趙(조)나라는 이웃 燕(연)나라에 흉년이 들자 이 틈을 노려 쳐들어가기로 했다. 연나라 왕은 많은 군사를 제나라에 출정시키고 있는 참이어서 조나라와 전쟁을 벌이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蘇代(소대)에게 조나라 왕을 설득하도록 부탁했다.

소대는 합종책으로 유명한 蘇秦(소진)의 아우인데 그 역시 說客(세객)으로 연나라를 위해서 활약하고 있었다. 그가 조나라 혜문왕을 찾아가 말했다.

『제가 오늘 귀국으로 오면서 易水(역수)를 건너다가 민물조개인 방합이 강변에서 입을 벌리고 햇볕을 쬐는 광경을 보았습니다. 그때 마침 도요새 한 마리가 날아와 방합의 속살을 쪼았습니다. 질겁을 한 방합이 황급히 입을 다물어 도요새의 부리를 물고 놓지 않았습니다. 도요새가 말했습니다. 「오늘도 비가 오지 않고 내일도 비가 오지 않고 이대로 있으면 넌 말라 죽는다」. 조개도 가만히 있지 않았습니다. 「내가 오늘도 놓아주지 않고 내일도 놓아주지 않으면 네놈은 굶어 죽을 걸」. 둘은 조금도 양보하려 하지 않았습니다. 그 때 마침 그곳을 지나던 어부가 힘 안들이고 둘 다 잡아 버렸습니다. 지금 전하께서 연나라를 공격하려 하십니다. 그래선 안됩니다. 조나라와 연나라가 아웅다웅하는 동안 강대한 秦(진)나라가 어부가 되지 않을까 두렵습니다』

조나라의 혜문왕은 그럴싸하게 여겨 침공계획을 중지하고 말았다.

語不成說 (어불성설)

語不成說(어불성설)

말이 조금도 이치에 맞지 않음을 뜻함.

魚目混珠 (어목혼주)

魚目混珠(어목혼주)

魚 물고기 어 | 目 눈 목 | 混 섞일 혼 | 珠 구슬 주 |

'물고기 눈이 진주와 섞이다'라는 뜻으로, 가짜와 진짜가 마구 뒤섞인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한시외전(韓詩外傳)》에서 유래되었다.


어목혼진(魚目混珍) 또는 어목사주(魚目似珠)라고도 한다. 중국 남북조시대의 임방(任昉)은 송(宋)·제(齊)·양(梁)나라의 3대에 걸쳐 벼슬을 하였으며, 중국문학사에서 경릉팔우(竟陵八友)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임방은 박학다식한 인물로, 읽지 않은 책이 없다고 일컬어질 정도였으며, 모은 책이 1만여 권에 달하여 당시에 장서가로도 이름이 높았다.

임방은 궁중에 소장된 방대한 서적을 분류하고 교감(校勘)하는 일을 담당하기도 하였는데, 표(表)·주(奏)·서(書)·계(啓) 등의 상주문 계통의 글도 잘 지어 당시의 왕공대인들이 황제에게 상주문을 올릴 때 그에게 대필을 부탁하지 않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임방의 글은 《문선(文選)》에 여러 편이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 '도대사마기실전(到大司馬記室箋)'이 있다. 임방은 이 글에서 자신을 발탁한 조정에 감사하며, 자신은 물고기 눈알처럼 쓸모없는 사람인데도 조정에서 값진 보옥처럼 사용하였노라고 스스로를 겸손하게 표현하였다.

당(唐)나라의 이선(李善)은 《문선주(文選注)》에서 이 구절의 주석으로 《한시외전(韓詩外傳)》의 "흰 뼈는 상아와 비슷하며, 물고기 눈알은 진주와 흡사하다(白骨類象, 魚目似珠)"라는 구절을 인용하였다. 어목혼주는 여기서 유래하여 가짜가 진짜가 마구 뒤섞여 있는 상태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또 천한 것과 귀한 것 또는 열등한 것과 우수한 것이 뒤섞여 있는 상태를 비유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魚魯不辨 (어로불변)

魚魯不辨(어로불변)

魚'자와 '魯'자를 분별하지 못함. 곧, 매우 무식함.

魚頭肉尾 (어두육미)

魚頭肉尾(어두육미)

물고기는 대가리, 짐승 고기는 꼬리가 맛이 있음.

魚頭鬼面 (어두귀면)

魚頭鬼面(어두귀면)

물고기 머리에 귀신 낯짝이라는 뜻으로, 몹시 흉한 얼굴을 이르는 말.

嚴冬雪寒 (엄동설한)

嚴冬雪寒(엄동설한)

눈 내리는 깊은 겨울의 심한 추위.

言過其實 (언과기실, yánguòqíshí)

言過其實(언과기실)

言过其实(yánguòqíshí)

言 말씀 언, 화기애애할 은 | 過 지날 과, 재앙 화 | 其 그 기 | 實 열매 실, 이를 지 |


'말이 실제보다 지나치다'라는 뜻으로, 말만 과장되게 부풀려서 해 놓고는 실행이 부족함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삼국시대 촉(蜀)나라의 마속(馬謖)과 관련된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마속은 자가 유상(幼常)으로, 그를 포함한 5형제가 모두 재능이 뛰어났다. 그의 형 마량(馬良)은 백미(白眉)라는 고사성어의 주인공이다. 마속도 재주가 남달랐고, 특히 군사 계략을 세우는 데 뛰어나 제갈량(諸葛亮)이 총애하였다.

그러나 유비(劉備)는 마속을 탐탁치 않게 여겼다. 유비는 관우(關羽)의 원수를 갚으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자 화병이 도져 쓰러졌다. 죽음을 앞둔 유비는 제갈량에게 뒷일을 부탁하면서 "마속은 말이 실제보다 지나치니 크게 쓰지 말도록 하고, 그대가 잘 살피시오(馬謖言過其實, 不可大用, 君其察之)"라고 특별히 당부하였다.

유비가 죽은 뒤, 위(魏)나라의 사마의(司馬懿)가 촉나라의 가정(街亭)을 공격하였다. 마속이 가서 가정을 방어하겠다고 자청하자, 제갈량은 그를 보내면서 수비만 하고 공격해서는 안 된다는 군령을 내렸다. 그러나 마속은 적의 꼬임에 넘어가 공격에 나섰다가 역습을 당하여 패주하였다.

제갈량은 마속을 총애하였지만, 군령을 어긴 죄를 물어 참형에 처하였다. '울며 마속을 베다'라는 뜻의 읍참마속(泣斬馬謖)이라는 고사성어도 여기서 유래되었다. 이 고사는 《삼국지(三國誌)》의 〈촉지(蜀志)·마량전(馬良傳)〉에 실려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언과기실은 말만 부풀려서 번드르르하게 하고는 제대로 실행에 옮기지는 않는 경우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관련 한자어

유의어

夸大其词(과대기사,kuādàqící) 과장하여 말하다 |

반의어

恰如其分(흡여기분,qiàrúqífèn) 매우 적절하다 |

过犹不及(과유불급,guòyóubùjí) 지나친 것은 모자라는 것과 같다 |

참조어

白眉(백미) | 泣斬馬謖(읍참마속) |


三國誌,三國誌:蜀志,三國誌:蜀志:馬良傳,諸葛亮,馬謖, 삼국지,삼국지:촉지.삼국지:촉지:마량전,제갈량,마속

抑强扶弱 (억강부약, yìqiángfúruò)

抑强扶弱(억강부약)

抑强扶弱(yìqiángfúruò)

강자(强者)를 누르고 약자(弱者)를 돕는 것.

to curb the strong and help the w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