殷鑑不遠(은감불원)
殷 성할 은, 은나라 은, 검붉은빛 안 | 鑑 거울 감 | 不 아닐 불 | 遠 멀 원 |
은(殷)나라 왕이 거울삼을 만한 것은 먼 데 있지 않다는 뜻으로, 본받을 만한 좋은 전례(前例)는 가까운 곳에 있다는 말
An example is not far to seek
하(夏)나라의 걸왕(桀王)은 폭군으로 유명하나, 원래는 지혜와 용기를 겸비하여 왕자다웠다. 그러다가 유시씨(有施氏)의 나라를 정벌(征伐)했을 때에 공물로 보내 온 매희(妹嬉)라는 여인에 빠진 나머지 온갖 사치와 음락을 계속하는 바람에 국력은 피폐하고 백성(百姓)들의 원망이 높아졌다. 기원전 16세기경 이러한 걸왕의 죄를 보다 못한 상(商)부락의 지도자인 탕(湯)은 천명이라 하고 중국 역사상 최초의 역성혁명(易姓革命)을 일으켜 상나라를 세웠다. 기원전 14세기경에는, 상나라의 왕 반경(盤庚)은 수도를 은(殷)지역으로 옮겼으며, 이때부터 상나라를 은나라라고도 하게 되었다.
은(殷)나라는 약 600년 후 주왕(紂王)에 이르러 망했다. 주왕도 출중한 지혜와 무용을 지녔으나, 유소씨(有蘇氏)의 나라를 정벌(征伐)했을 때에 공물로 보내온 달기(妲己)라는 여인에 빠져 주지육림(酒池肉林) 속에서 세월을 보냈다. 보다 못한 신하(臣下)가 이를 간하기라도 하면 도리어 엄벌에 처했다.
삼공(三公) 중 뒷날 주(周)나라의 문왕(文王)이 되는 서백(西伯)이 간하다가 갇혔는데, 그는 『시경(詩經)』의 대아(大雅) 탕시(蕩詩)의 구절을 인용하여 "은(殷)의 왕이 거울삼을 만한 것은 먼 데 있지 않고, 하나라 걸왕 때에 있다[殷鑑不遠在夏后之世]."하고 간했다. 음락에 빠져 헤어 나오지 못하던 주왕은 주나라 무왕에게 멸망당했다.
출전
시경(詩經)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覆車之戒(복거지계) | 商鑑不遠(상감불원) | 殷鑑不遠(은감불원) | 殷鑒不遠(은감불원)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