穿楊貫蝨 (천양관슬, chuānyángguànshī)

穿楊貫蝨(천양관슬)

穿杨贯虱(chuānyángguànshī)

穿 뚫을 천 | 楊 버들 양 | 貫 꿸 관 | 蝨 이 슬 |


'버드나무 잎을 맞히고 이를 꿰뚫는다'라는 뜻으로, 매우 뛰어난 활솜씨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고대 중국의 명궁인 양유기(養由基)와 기창(紀昌)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천양(穿楊)과 관슬(貫蝨)의 고사가 합쳐져 이루어진 성어이다. 천양은 춘추전국시대 초(楚)나라의 양유기라는 장수와 관련된 고사이다. 양유기는 활을 잘 쏘아 100보 떨어진 곳에서 버드나무 잎을 맞혔는데, 100번을 쏘면 100번 모두 명중하였다고 한다. 이 고사는 《사기(史記)》의 〈주본기(周本紀)〉편과 《전국책(戰國策)》의 〈서주책(西周策)〉편에 실려 있는데, 여기서 백발백중(百發百中) 또는 백보천양(百步穿楊)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되었다.

관슬은 관슬지기(貫蝨之技)라고도 한다. 옛날 중국에 감승(甘蠅)이라는 명궁이 있었는데, 달리는 짐승이나 나는 새를 쏘아 빗맞히는 일이 없었다. 감승의 제자인 비위(飛衛)는 스승보다 활솜씨가 더 뛰어났다고 한다. 기창(紀昌)이라는 사람이 비위에게 활쏘는 법을 가르쳐 달라고 하자, 비위는 눈을 깜빡거리지 않는 방법을 먼저 익히고 나서 다시 오라고 하였다.

기창은 집으로 돌아가 아내가 일하는 베틀 밑에 누워서 왔다 갔다 하는 북을 바라보며 눈을 깜빡거리지 않는 훈련을 하였다. 2년이 지나 송곳이 눈앞에 와도 눈을 깜빡거리지 않게 되자 기창은 다시 비위를 찾아갔다. 비위는 아직 부족하다며, 작은 것이 크게 보이고 희미한 것이 뚜렷하게 보일 정도로 보는 훈련을 쌓은 뒤에 다시 찾아오라고 하였다. 기창은 가는 털에 이를 묶어 창문에 매달아 놓고는 매일같이 바라보았다.

열흘이 지나자 이가 조금씩 크게 보이기 시작하더니 3년이 지난 뒤에는 수레바퀴만하게 보였다. 기창은 아주 조그만 활과 화살을 만들어 이를 쏘아 꿰뚫었는데, 이를 묶어 놓은 털은 그대로 매달려 있었다(貫蝨之心, 而懸不絶). 기창이 다시 비위를 찾아가 사실대로 말하니, 비위는 "그대는 이미 활쏘는 법을 터득하였다"라고 말하며 좋아하였다. 이 고사는 《열자(列子)》의 〈탕문(湯問)〉편에 실려 있다. 이상의 2가지 고사에서 유래하여 천양관슬은 신궁(神弓)과도 같은 뛰어난 활솜씨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관련 한자어

참조어

百發百中(백발백중) | 百步穿楊(백보천양) | 貫蝨之技(관슬지기) |


史記, 史記:周本紀, 사기, 사기:주본기, 戰國策, 戰國策:西周策, 전국책, 전국책:서주책, 列子, 列子:湯問, 열자, 열자:탕문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