合從連衡 (합종연횡)

합종연횡 (合從連衡)

合 합할 합, 쪽문 합, 홉 홉 | 從 좇을 종 | 連 잇닿을 연 | 衡 저울대 형, 가로 횡 |


① 전국시대(戰國時代)에 행(行)해졌던 최강국인 진(秦)과 연(燕)·제(齊)·초(楚)·한(韓)·위(魏)·조(趙)의 6국 사이의 외교(外交)방식(方式)으로 합종책(合從策)과 연횡책(連衡策)을 말함 ② 약자(弱者)끼리 세로로 연합(聯合)하여 강자(强者)에게 대항(對抗)하거나, 약자(弱者)들이 가로로 나란히 서서 강자(强者)와 화해(和解)함


소진(蘇秦)의 합종설(合從說)과 장의(張儀)의 연횡설(連衡說), 곧 전국(戰國) 시대(時代)의 군사(軍事) 동맹(同盟)의 형태(形態)에서 유래.

BC 4세기 말 여러 나라를 유세하고 있던 소진(蘇秦)은 우선 연에게, 이어서 다른 5국에게 '진 밑에서 쇠꼬리가 되기보다는 차라리 닭의 머리가 되자'고 설득하여, 한위조연초제(韓魏趙燕楚齊) 6국을 종적(縱的)으로 연합시켜 서쪽의 강대한 진나라와 대결할 공수동맹을 맺도록 하였다. 이것을 합종(合從:從은 縱)이라 한다.

소진은 자신이 거쳐온 조나라를 시작으로 한, 위, 제, 초를 차례로 유세해 최종적으로 6국 동맹이라는 합종의 마지막 수순을 완성하였다. 소진 자신은 6국의 공동재상이 되어 각국을 돌며 강대국 진나라에 공동으로 맞서는 전략을 설파하고 다듬어 나갔다. 합종은 1강 독주체제를 막기 위한 전략이지만, 나머지 6국이 기본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예측불허의 변수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와해될 수 있는 심각한 취약점을 가지고 있었다.

뒤에 위나라 장의(張儀)는 합종은 일시적 허식에 지나지 않으며 진을 섬겨야 한다고, 6국을 돌며 연합할 것을 설득하여 진이 6국과 개별로 횡적 동맹을 맺는 데 성공하였다. 이것을 연횡(連衡:衡은 橫)이라고 한다.

장의의 연횡론은 진나라의 동방에 횡으로 늘어서 있는 6국을 각개 겨파해 최종적으로 천하를 통일한다는 전략이다. 철두철미하게 합종에 대응하는 전략으로 6국의 동맹을 와해시키는 것을 최종 목표로 했다. 장의의 연횡은 지극히 현실적인 전략이며, 궁극적으로는 6국의 소멸을 전제로 한 힘의 논리 그 자체였다.

결국 진은 합종을 타파한 뒤 6국을 차례로 멸망시켜 중국을 통일하였다.

[출전]
사기(史記) |


사기(史記)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