烏合之卒 (오합지졸)

烏合之卒 (오합지졸)

아무 규율도 통일도 없이 몰려다니는 무리


三國志·吳志·陳泰傳

“艾等以爲王經精卒破衄於西,賊衆大盛,乘勝之兵既不可當,而將軍以烏合之卒,繼敗軍之後,將士失氣,隴右傾蕩”

烏合之衆 (오합지중)

烏合之衆(오합지중)

규칙도 통일성도 없이 모여든 군중.

烏鳥私情 (오조사정)

烏鳥私情(오조사정)

烏 까마귀 오 | 鳥 새 조 | 私 사사 사 | 情 뜻 정 |

까마귀가 새끼 적에 어미가 길러 준 은혜(恩惠)를 갚는 사사(私事)로운 애정(愛情)이라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에게 효성(孝誠)을 다하려는 마음을 이르는 말


진(晋)나라 사람 이밀(李密)이 쓴 '진정표(陳情表)'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실려있다. 이 글은 조모 유씨의 병세가 위독하여 이밀이 부득이 관직을 사양하게 됨을 황제께 고하는 글이다.

저는 조모가 안계셨더라면 오늘에 이를 수 없었을 것이며, 조모께서는 제가 없으면 여생을 마칠 수 없을 것입니다. 저는 금년 44세이고, 조모 유씨는 96세이니, 제가 폐하게 충성을 다할 날은 길고 조모 유씨에게 은혜를 보답할 날은 짧습니다. 까마귀가 어미새의 은혜에 보답하려는 마음으로 조모가 돌아가시는 날 까지만 봉양하게 해 주십시오[烏鳥私情, 願乞終養].

이밀은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 하씨가 개가하자, 할머니의 손에서 자랐으며, 효심이 두터워서 할머니의 병 간호를 하고자 황제가 내린 관직을 물리쳤다.

吴市吹箫 (오시취소, Wúshìchuīxiāo)

吴市吹箫(오시취소,Wúshìchuīxiāo)

吴市吹箫(Wúshìchuīxiāo)

吴 나라 이름 오 | 市 시장 시 | 吹 불 취 | 箫 퉁소 소 |


(여비가 떨어져) 길거리를 떠돌아다니며 구걸하다.


(춘추(春秋) 시대의 명장 오자서(伍子胥)가 부형(父兄)의 원수를 갚기 위해 초(楚)나라에서 오(吳)나라로 도망하여) 오나라 저잣거리에서 피리를 불어 먹을 것을 구걸하다.


관련 한자어

참조어

掘墓鞭屍(굴묘편시) | 心腹之患(심복지환) | 日暮途遠(일모도원) |


史記, 사기, 史記:伍子胥列傳, 사기:오자서열전, 伍子胥, 오자서

五日京兆 (오일경조)

五日京兆(오일경조)

五日京兆[wǔrìjīngzhào]

五 다섯 오 | 日 날 일, 해 일 | 京 서울 경 | 兆 조 조, 조짐 조 |

닷새 동안의 경조윤(京兆尹)이라는 뜻으로, 오래 계속(繼續)되지 못한 관직(官職), 또는 그런 일


한서(漢書) 장창전(張敞傳)에 실린 이야기다.

한(漢)나라 선제(宣帝)때, 장창(張敞)은 수도 장안(長安)의 부윤(府尹), 즉 경조윤(京兆尹)을 지냈는데, 중랑장(中郞將) 양운과 막역한 사이였다. 양운은 청렴하고, 총명하고 재능이 있었지만, 많은 사람들로부터 원망과 모함을 받아 면직되었고, 나중에는 대역무도의 죄로 사형에 처해졌다. 조정의 대신들은 양운과 막역한 사이인 장창의 벼슬도 박탈하여야 마땅하다고 상주하였으나, 장창의 재능을 아끼는 선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장창의 수하에 서순(絮舜)이라는 부하가 있었다. 그는 도적 잡는 적포연이라는 관직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일부 대신들이 장창을 처벌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을 듣고, 장창이 곧 파면되리라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는 어떤 사건을 조사하라는 장창의 명령에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귀가하였다. 어떤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면 안된다고 충고하자 서순은 "나는 경조윤을 위하여 할만큼 했소이다. 지금 경조윤은 남은 임기가 길어야 닷새일 것이니 어찌 사건을 다시 수사할 수 있겠소[吾爲是公盡力多矣, 今五日京兆耳, 安能復案事]"라고 말했다.

장창이 이 말을 듣고 부하들을 시켜 서순을 감옥에 가두게 하였다. 마침 12월이 며칠 남지 않은 때였는데, 당시 한나라의 형법은 매년 12월에 사형을 집행하도록 규정하였다. 그리하여 형리가 밤낮으로 서순의 사건을 조사하여 사형을 판결하고 즉시 집행하였다. 장창은 사형을 집행하기 전에 서순에게 "닷새 동안의 경조윤이 과연 어떠하냐? 12월도 이미 끝나려 하는데, 너는 더 살 수 있을 것 같으냐[五日京兆竟何如? 冬月已盡, 延命乎?]"라고 말하고는 처형하였다.

장창은 이 일로 서순의 가족들에게 원한을 사서 결국 경조윤에서 물러났다가 나중에 다시 등용되었다.

여기서 유래하여 오일경조는 재임 기간이 매우 짧은 관직이나 그러한 일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또 임기에 관계없이 아무 때나 관직을 떠나버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출전

한서·장창전(漢書·張敞傳)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百日天下(백일천하) | 三日天下(삼일천하) |


吳越同舟 (오월동주, WúYuètóngzhōu)

吳越同舟(오월동주)

吴越同舟(WúYuètóngzhōu)

사이가 나쁜 吳(오)나라와 越(월)나라가 한배에 타다. 서로 敵意(적의)를 품은 사람이 한자리나 같은 처지에 있음을 가리키는 말. 아무리 원수지간이라도 같이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면 서로 협력하게 된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춘추시대 오나라의 孫武(손무)는 병법에 통달한 명장이었다. 유명한 兵法書(병법서)인 「孫子(손자)」는 바로 그가 쓴 것이다.

「손자」의 九地篇(구지편)에는 이렇게 적혀있다.

『군사를 통솔하는 데에는 아홉 가지의 地(지)가 있다. 구지 가운데 마지막 地를 死地(사지)라 한다. 두려움없이 나가 싸우면 살 길이 있고 겁내어 나가지 않으면 망하는 必死(필사)의 地이다. 그러니까 사지에 있을 때에는 싸워라. 그래야 길이 열린다. 사지에서는 모든 군사가 한마음 한뜻으로 싸워야 한다.

用兵術(용병술)에 능한 장수는 군사가 率然(솔연)을 닮게 해야 한다. 솔연은 常山(상산)에 있는 큰 뱀인데 대가리를 치면 꼬리로 대들고 꼬리를 치면 대가리로 덤벼들며 몸통을 치면 대가리와 꼬리가 함께 덮친다. 이처럼 세력을 하나로 합치는 것이 중요하다.

오나라와 월나라 사람들은 예로부터 서로 미워하고 있다. 하지만 오나라와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타고(吳越同舟) 강을 건넌다고 하자. 도중에 큰 바람을 만나 배가 뒤집히려고 한다면 두 사람은 평소의 敵愾心(적개심)을 잊고 서로 왼손과 오른손이 되어 도울 것이다. 이처럼 戰車(전차)의 말들을 붙들어매고 전차바퀴를 땅에 파묻어 방비를 튼튼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도움이 되는 것은 필사적으로 뭉친 군사들의 마음이다』

吳越春秋 (오월춘추) 趙曄 (조엽)

吳越春秋(오월춘추) 趙曄(조엽)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오와 월 두 나라의 분쟁(紛爭)의 전말을 기록(記錄)한 사서(史書). 후한의 조엽(趙曄)이 엮었음. 6권본과 10권본이 있음.

吳牛喘月 (오우천월)

吳牛喘月(오우천월)

吳 나라이름 오, 성씨 오, 큰소리칠 화 | 牛 소 우 | 喘 숨찰 천 | 月 달 월 |

더운 오나라의 소는 달만 보고도 해인 줄 알고 지레 겁을 먹어 숨을 헐떡거린다는 데서 나온 말.


'세설신어(世說新語)' 언어편(言語編)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진(晋)의 2대 황제인 혜제 때 사마염(司馬炎)의 상서령(尙書令)으로 만분(滿奮)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무제 때에는 전부터 발명되었던 유리를 창문에 이용하고 있었으나, 유리는 당시 보석처럼 귀중한 물건이어서 구경하기가 힘들었다. 어느 날 만분이 무제와 같이 앉아 있는데 마침 북쪽 창이 훤히 비치는 유리병풍으로 둘러처져 있었다. 원래 기질이 약해 조금만 바람을 쐬도 감기에 자주 걸려 바람을 두려워했던 만분은, 틈이 없어 바람이 새지 않는데도 난색을 표했다. 왕이 이를 보고 웃자 만분은 말했다.

“남쪽 오(吳)나라의 물소들은 더위를 매우 싫어하여, 여름이 되면 물속에 들어가 놀거나 나무 그늘에서 쉬는 것을 좋아합니다. 가장 두려워 하는 것은 한낮의 뜨거운 태양입니다. 어쩌다 밤에 밝은 달을 보게 되면 그것이 태양인줄 알고 곧 숨을 헐떡이게 됩니다. 저는 마치 남쪽의 소가 달만 보아도 헐떡이는 것과 같습니다[臣猶吳牛 見月而喘].”

평생 유리창을 본 적이 없는 그가 휑하니 뚫린 북쪽창을 보고 겁을 먹는 것을 보고 내막을 아는 왕이 그것을 보고 웃자, 황공해진 만분이 왕에게 자신을 오나라의 소에게 비유한 것이다. 같은 의미로 쓰이는 우리 속담에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만 보아도 놀란다’가 있다.


출전

세설신어(世說新語) 언어편(言語編)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懲羹吹虀(징갱취제) | 傷弓之鳥(상궁지조) | 傷弓之鳥(상국지조) | 驚弓之鳥(경궁지조) |


관련 속담

동의어·유의어

¶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만 보아도 놀란다 (한국속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虎視牛行 (호시우행)

호시우행(虎視牛行)

'호랑이(虎)처럼 보고(視) 소(牛)처럼 행동(行)한다'는 말로 신중하게 조심하며 일을 해 나간다는 뜻.

五十步百步 (오십보백보, wǔshíbùbǎibù)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五十步百步(wǔshíbùbǎibù)

백보를 도망간 사람이나 오십보를 도망간 사람이나 도망한 사실에는 양자의 차이가 없다. 두 가지가 서로 별 차이 없다는 말.


춘추시대(春秋時代) 위(魏)나라 혜왕(惠王)은 나름대로 국민 수 증가로 부국강병을 위해 노력했으나 별 효과가 없자 맹자(孟子)한테 자기 자랑 겸 묻게 되었다. "나는 마음을 다해 백성(百姓)을 다스려 하내(河內) 지방이 흉년이 들면 하동(河東)의 곡식을 옮겨 하내 지방 백성(百姓)을 먹이고 하동 지방이 흉년이 들면 또한 그같이 하는데, 이웃 나라의 정치(政治)를 보면 나와 같이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내 백성(百姓)이 더 많아지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이 말을 듣고 맹자(孟子)는 비유를 들어 말했다. "왕이 전쟁을 좋아하시니 그것으로 말을 하지요. 전쟁터에서 전쟁이 한창일 때 한 병사가 갑옷과 투구를 던져 버리고 도망을 쳐서 백보쯤 가서 멈추었습니다. 또 다른 병사도 도망치다가 오십보쯤 가서 멈추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백보 도망친 사람을 겁쟁이라고 비웃었습니다. 왕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오십보나 백보나 도망친 것은 마찬가지가 아니요?"이 말을 듣고 맹자(孟子)는"그것을 아신다면 이웃 나라보다 백성(百姓)이 많아지지 않는다고 한탄하지 마십시오."라고 말했다. 결국 혜왕이 흉년이 들었을 때 백성(百姓)을 도운 것은 전쟁을 위한 목적이었기 때문에 혜왕 밑으로 모이는 백성(百姓)은 더 늘지는 않았던 것이다.

출전
맹자(孟子)의 양혜왕상편(梁惠王上篇)

屋上家屋 (옥상가옥)

屋上家屋(옥상가옥)

지붕위에 또 지붕을 얹는다는 말. 헛수고를 하거나 필요없는 일을 거듭함을 뜻한다.


동진의 유중초가 수도 建康(건강․지금의 남경)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 揚都賦(양도부)를 지었다. 그는 먼저 이 시를 친척이자 재상인 유양에게 보였다. 유양은 친척간의 정리 때문이었던지 턱없이 치켜세워 주었다.

『양도부는 좌태충이 지은 三都賦(삼도부)와 비교해보아도 遜色(손색)이 없군』

이렇게 되어 사람들이 너도 나도 유중초의 양도부를 베껴가는 바람에 나라안의 종이가 동이 날 지경이 되었다. 이런 한심한 作態(작태)에 太傅(태부) 사안석은 눈살을 찌푸리며 歎息(탄식)했다.

『양도부란 시는 마치 「지붕밑에 지붕을 걸쳐놓은 것(屋下架屋)」같은 시야. 삼도부를 그대로 베끼다 시피 한 건데』

그 뒤 상당한 세월이 흘러 남북조시대에 나온 顔氏家訓(안씨가훈)이란 책에도 이런 대목이 보인다.

『魏晋(위진)이래의 책들은 내용이 중복되고 남의 흉내만 내고 있어 「지붕밑에 지붕을 만들고」 평상위에 평상을 만든 것 같다』

그러니까 처음에는 지붕밑에 지붕을 걸쳐놓은 것이었는데 어느때부터인지 「지붕위에 지붕을 얹는 것(屋上家屋)」으로 바뀌어 쓰이고 있는 것이다.

烏飛一色 (오비일색)

烏飛一色(오비일색)

날고 있는 까마귀가 모두 같은 빛깔임. 모두 같은 종류 피차 똑같음을 이르는 말.

吾鼻三尺 (오비삼척)

吾鼻三尺(오비삼척)

吾鼻三尺(wúbísānchǐ)

吾 나 오, 친하지 않을 어, 땅 이름 아 | 鼻 코 비 | 三 석 삼 | 尺 자 척

①오비체수삼척(吾鼻涕垂三尺)의 준말로, 곤경(困境)에 처해 자기(自己) 일도 해결(解決)하기 어려운 판국(版局)에 어찌 남을 도울 여지가 있겠는가라는 말 ②'내 코가 석 자'라는 속담(俗談)으로, 내 일도 감당(堪當)하기 어려워 남의 사정(事情)을 돌볼 여유(餘裕)가 없다라는 말

출전
순오지(旬五志)

吾不關焉 (오불관언)

吾不關焉(오불관언)

①나는 그 일에 상관(相關)하지 아니함 ②또는 그런 태도(態度)

与己无关。事不关己。事不关己,高高挂起。

五味口爽 (오미구상)

五味口爽 (오미구상)

맛있는 음식은 입을 상하게 한다.

五色令人目盲 오색영인목맹
五音令人耳聾 오음영인이농
五味令人口爽 오미영인구상

오색(五色)의 아름다움은 사람의 눈을 멀게 하고
오음(五音)은 아름다움은 사람의 귀를 멀게 하고
오미(五味)의 감미로움은 사람의 입을 상하게 한다.

- 도덕경

一髮千鈞 (일발천균)

一髮千鈞(일발천균)

一 한 일 | 髮 터럭 발 | 千 일천 천 | 鈞 서른 근 균 |

한 가닥의 머리털로 천균, 즉 만 근(斤)이나 되는 무거운 물건을 매어 끈다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일을 이르는 말.


한서(漢書) 매승(枚乘)전의 이야기.

서한(西漢) 시기, 매승이라는 유명한 문인이 있었는데, 그는 사부(辭賦)에 능했다. 그는 오왕(吳王) 유비(劉 )의 휘하에서 낭중(朗中)을 지내며, 오왕이 모반하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하나의 비유를 들어 오왕에게 모반을 포기하도록 권고하였다.

한 가닥의 머리카락에 매달린 삼만근 무게의 물건이 위는 그 끝을 모를 높은 곳에 매달려 있고, 아랫부분은 바닥이 없는 깊은 못에 드리워져 있다고 합시다.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상황이 극히 위태롭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만약 윗부분이 끊긴다면 다시 이을 수 없으며, 아랫부분이 깊은 못으로 떨어진다면 다시 끌어올릴 수 없습니다. 왕께서 모반하시려는 것은 바로 한 가닥의 머리카락에 매다린 것처럼 위험한 일입니다.

충고를 받아 들이지 않자, 매승은 오나라를 떠나 양(梁)나라로 가서 양효왕의 문객이 되었다. 그후 오왕은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였다.


출전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一髮引千鈞(일발인천균)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寤寐不忘 (오매불망)

寤寐不忘(오매불망)

자나깨나 잊지 못함.

五理霧中 (오리무중)

五理霧中(오리무중)

五 다섯 오 | 理 다스릴 리(이) | 霧 안개 무 | 中 가운데 중

5리나 되는 짙은 안개 속에 있다는 뜻. 짙은 안개 속에서 방향을 찾지 못하는 것처럼 무슨 일에 대해 갈피를 못잡고 알 길이 없음을 일컫는 말.

五燈會元 (오등회원) 慧明 (혜명)

五燈會元(오등회원) 慧明(혜명)

구분불교서적
저자혜명
시대1253년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등 송대에 발간된 다섯 가지 선종사서(禪宗史書)를 압축한 선종의 통사(通史)이다. 책명은 ‘다섯 가지의 등사(燈史)를 회통(會通)하여 하나로 엮었다’는 뜻이다. 다섯 가지 책은 ① 도원(道原)이 1004년에 지은 《경덕전등록》(전30권), ② 이준욱(李遵勖)이 1036년에 지은 《천성광등록(天聖廣燈錄)》(전30권), ③ 불국유백(佛國惟白)이 1101년에 지은 《건중정국속등록(建重靖國續燈錄)》(전30권), ④ 오명(悟明)이 1183년에 지은 《연등회요(聯燈會要)》(전30권), ⑤ 정수(正受)가 1201∼1204년 간행한 《가태보등록(嘉泰普燈錄)》(전30권)을 말한다. 이를 모두 합하면 150권이나 되는데, 20권으로 축약하여 선의 대의를 밝힌 입문서로 평가된다.

저자는 혜명으로 되어 있으나, 보우본(寶祐本) 《오등회원》의 서문에 따르면 항저우[杭州] 영은사의 대천보제(大川普濟:1179∼1253)가 혜명 등 여러 제자에게 명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특히 선종의 법맥을 중심으로 다루지 않고 선종의 오가칠종(五家七宗)을 권별로 분류한 점이 특색이다. 본래는 중국 선종의 각 분파와 법계를 자세히 서술할 예정이었으나, 종문이 많이 나뉘고 또 파도 복잡해지자 오가칠종으로 나누었다. 종파별로 분류되어 있어 열람하기 쉬운 탓에 선종 관계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읽혔다.

내용은 오가칠종을 중심으로 각 종파별 선사들을 소개하고, 그들의 기연과 법어·게송을 서술한 것이 주를 이룬다. 제1권은 과거칠불에서 동토6조까지를 소개하고, 제2권은 동토 제4∼7조의 법맥을 이은 선사들과 응화성현(應化聖賢)을 소개한다. 응화성현이란 중생들에게 홀연히 나타나 선의 대의를 깨우쳐 준 이들을 말한다. 제3∼4권은 남악 문하 제5대 선사까지를 소개하고, 제5∼6권은 행사 문하 제7대 선사들과 법계가 자세하지 않은 선사들의 행적을 소개한다. 제7∼8권은 행사 문하 제2∼9대, 제9권은 위앙종의 선사들, 제10권은 법안종의 선사들, 제11∼12권은 임제종의 선사들, 제13∼14권은 조동종의 선사들, 제15∼16권은 운문종의 선사들, 제17∼18권은 임제종 황룡파의 선사들, 제19∼20권은 임제종 양기파의 선사들을 소개한다.

오가칠종 중 가장 늦게 성립한 법안종을 앞 부분에서 다루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러한 분류에 대하여 청의 영각 원현(永覺元賢)은 1651년 발간된 《계등록(繼燈錄)》에서 대천 보제가 자신의 사당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오가칠종의 사상체계를 알기 쉽게 분류하고, 화제(話題)가 뛰어난 까닭에 선종 승려들뿐만 아니라 사대부와 문인들에게 선을 이해하는 데 좋은 지침서가 되었다. 이 책의 영향을 받아 명의 남석 문수(南石文璲: 1354∼1418)가 《오등회원보유(五燈會元補遺)》를 펴내고, 청의 원문정주(遠門淨柱)가 1648년에 《오등회원속략(五燈會元續略)》을 펴냈다.


관련 한자어

焦眉之急(초미지급) |

吳兢 (오긍)

吳兢(오긍)


관련 서적

貞觀政要(정관정요)

溫故知新 (온고지신)

溫故知新(온고지신)

溫 익힐 온 | 故 옛 고 | 知 알 지 | 新 새 신 |

옛 것을 익혀서 새 것을 안다. 역사와 지난 날의 학문을 충분히 익힘으로써 새로운 사실과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는 말이다. 오늘을 알기 위해 어제를 알고 내일을 내다보기 위해서는 오늘을 알아야 한다는 뜻으로도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