磨斧作針 (마부작침, mófǔzuòzhēn)

磨斧作針(마부작침)

磨斧作针(mófǔzuòzhēn)

磨 갈 마 | 斧 도끼 부 | 作 지을 작,저주 저,만들 주 | 針 바늘 침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努力)하면 이룰 수 있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남송(南宋) 때 축목(祝穆)이 지은 지리서 《방여승람(方與勝覽)》과 《당서(唐書)》 문예전(文藝傳)에 보이는 말이다. 당(唐)나라 때 시선(詩仙)으로 불린 이백(李白)은 서역의 무역상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어린 시절을 촉(蜀)에서 보냈다. 젊은 시절 도교(道敎)에 심취했던 이백은 유협(遊俠)의 무리들과 어울려 쓰촨성[泗川省] 각지의 산을 떠돌기도 하였다.

이때 학문을 위해 상의산(象宜山)에 들어갔던 이백이 공부에 싫증이 나 산에서 내려와 돌아오는 길에 한 노파가 냇가에서 바위에 도끼를 갈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이상하게 생각한 이백이 물었다. "할머니, 지금 무엇을 하고 계신 것입니까?" "바늘을 만들려고 한단다. " 노파의 대답을 들은 이백이 기가 막혀서 "도끼로 바늘을 만든단 말씀입니까?" 하고 큰 소리로 웃자, 노파는 가만히 이백을 쳐다보며 꾸짖듯 말하였다.

"얘야, 비웃을 일이 아니다. 중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언젠가는 이 도끼로 바늘을 만들 수가 있단다." 이 말을 들은 이백은 크게 깨달은 바 있어 그 후로는 한눈 팔지 않고 글공부를 열심히 하였다고 한다. 그가 고금을 통하여 대시인으로 불리게 된 것은 이러한 경험이 계기가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마철저이성침(磨鐵杵而成針), 마철저(磨鐵杵), 철저성침(鐵杵成針), 우공이산(愚公移山)이나 수적석천(水滴石穿)과 같은 의미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를 가지고 계속 노력하면 마침내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유래]
방여승람(方與勝覽) | 당서(唐書) : 문예전(文藝傳)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磨杵成针(마저성침,móchǔchéngzhēn) 쇠공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들다. 끈기 있게 노력하면 무슨 일이든지 다 이룬다. |

點滴穿石(점적천석) 치마의 빗방울이 돌을 뚫는다는 뜻으로, 작은 힘이라도 그것이 거듭되면 예상(豫想)하지 못했던 큰 일을 해냄을 이르는 말. [유래]두목(杜牧)의 야우(夜雨) |

積土成山(적토성산) | 積塵成山(적진성산) | 積水成淵(적수성연) | 積小成大(적소성대) | 愚公移山(우공이산) | 十伐之木(십벌지목) | 水積成川(수적성천) | 山溜穿石(산류천석) | 磨斧作鍼(마부작침) | 磨斧爲針(마부위침) |

참조어 - 도끼와 관련된 고사성어

揭斧入淵(게부입연) 도끼를 들고 못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물건(物件)을 사용(使用)하는 데 있어서 전연 쓸데없고 상관(相關)없는 것을 가지고 옴을 이르는 말 |

鬼斧(귀부) 귀신(鬼神)의 도끼라는 뜻으로, 신기(神奇)한 연장, 또는 훌륭한 세공(細工)을 이르는 말 |

得斧失斧(득부실부) 얻은 도끼나 잃은 도끼나 매일반이라는 뜻으로, 얻고 잃음이 없음을 이르는 말 |

磨斧爲針(마부위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이루기 힘든 일도 끊임없는 노력(努力)과 끈기 있는 인내(忍耐)로 성공(成功)하고야 만다는 뜻 |

磨斧作針(마부작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노력(努力)하면 이룰 수 있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

伐柯(벌가) 도끼 자루감을 도끼로 벤다는 뜻으로, ①진리(眞理)는 눈앞에 있는 것이니, 먼 데서 구(求)할 것이 아니라는 비유(比喩) ②어진 사람을 맞아들이는 데는 어진 사람이 가야한다는 비유(比喩) |

伐性之斧(벌성지부) 천부(天賦)의 양심(良心)을 끊는 도끼라는 뜻으로, 사람의 마음을 탐하게 하여 성명(性命)을 잃게 하는 것, 즉 여색(女色)과 요행(僥倖)을 이르는 말 |

舌疽有斧(설저유부) 혀 아래(밑에) 도끼 들었다는 뜻 |

失斧得斧同(실부득부동) 잃은 도끼나 얻은 도끼나 한가지라는 뜻으로, 주고 받은 것이 같아 손해(損害)도 이익(利益)도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自斧刖足(자부월족)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힘 |

竊鈇之疑(절부지의) 도끼를 훔쳐 갔다고 의심(疑心) 받은 사람이 그 행동(行動)이나 말이 모두 훔쳐간 것처럼 보이나 다른 데서 발견(發見)되어 누명을 벗은 후(後)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다는 옛일에서, 공연한 혐의(嫌疑) |

持斧伏闕(지부복궐) 상소(上疏)할 때에 도끼를 가지고 대궐문(大闕-) 밖에 나아가 엎드리던 일. 중난(重難)한 일에 대(對)하여 간할 때에 그 뜻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 이 도끼로 죽여 달라는 결의(決意)를 나타냄 |

知斧斫足(지부작족)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는 뜻으로, 믿는 사람에게서 배신당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毫毛斧柯(호모부가) 수목(樹木)을 어릴 때 베지 않으면 마침내 도끼를 사용(使用)하는 노력(努力)이 필요(必要)하게 된다는 뜻으로, 화(禍)는 미세(微細)할 때에 예방(豫防)해야 함을 비유(比喩)하는 말로 쓰임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