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丘之貉 (일구지학)

一丘之貉(일구지학)

一 한 일 | 丘 언덕 구 | 之 어조사 지, -의 지 | 狢 오소리 학 |

'한 언덕의 오소리'라는 뜻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같은 부류 또는 한통속의 나쁜 무리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한(漢)나라 선제(宣帝) 때의 양운과 관련된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한서(漢書) 양창전(楊敞傳)의 이야기.

양운은 한(漢)나라 소제(昭帝) 때 승상을 지냈던 양창의 둘째 아들이며 사기(史記)의 저자인 사마천(司馬遷)의 외손자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젊은 나이에 조정에서 요직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그는 다른 사람들의 결점 또한 용납하지 않았으며, 젊은 나이에 큰 명성을 누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교만한 태도를 드러냄으로써 남의 미움을 사기도 하였다.

양운은 특히 선제가 가장 총애하는 태복(太僕) 벼슬의 대장락(戴長樂)과 사이가 나빴다. 한번은 대장락이 누군가로부터 고소를 당하자 양운을 의심하였다. 그래서 대장락도 양운을 비방하는 글을 선제에게 올렸는데, 그 가운데 이런 내용이 있었다.

"양운은 흉노에서 항복한 자들로부터 선우(單于)가 살해되었다는 말을 듣고는 '못난 군주는 대신(大臣)이 나라를 다스릴 방책을 잘 계획하여도 채용하지 않으니 스스로 자기 몸을 둘 곳을 없게 만든다. 이는 마치 진(秦)나라 때 소인을 기용하고 충신을 주살하여 멸망에 이른 것과 같으니, 대신을 신임하였더라면 진나라가 지금까지 존속되었을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어리석은 군주는 한 언덕에 모여 사는 오소리와 다를 바 없다[古與今如一丘之狢]'라고 하였습니다. 양운은 망령되게도 망국의 예를 들어 현재를 비방하였으니 신하된 도리가 아닙니다."

이를 본 선제를 화를 내며 양운을 차마 죽이지는 못하고, 양운과 대장락 모두 면직시켰다. 양운은 고향으로 돌아와, 친구에게 편지를 보내 답답함을 호소했는데, 이 사실이 한나라 선제에게 발각되어, 결국 허리를 절단하는 형벌에 처해졌다.

여기서 유래하여 일구지학은 부정적인 의미에서 서로 다를 바 없는 똑같은 부류, 한통속의 나쁜 무리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출전

한서(漢書) 양창전(楊敞傳) |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

반의어·상대어

|


중요도·활용도

중요도 ★

No comments:

Post a Comment